[사설] 내 한 표로 민주주의 꽃 활짝 피워보자

입력 2017-05-08 17:22 수정 2017-05-08 21:06
선택의 날이다. 19대 대통령을 뽑는 투표가 9일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전국 1만3964개 투표소에서 일제히 실시된다. 지난해 12월 9일 국회의 탄핵안 가결로 박근혜 전 대통령 직무가 정지된 지 정확히 5개월 만에 국가 리더십 공백을 끝내는 선거다. 그 어느 선거보다 유권자들의 선택이 중요하고 책임 또한 막중하다. 지난가을부터 광장에서 외쳤던 헌법 제1조 2항(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을 구호가 아닌 행동으로 옮길 시간이 됐다. 14시간 동안 이어질 한 표 한 표가 희망찬 미래로 가는 주춧돌로 놓일 것이다.

이번 선거는 대통령 탄핵이라는 사상 초유의 국가·국민적 불행을 종식시키기 위해 치르는 조기 대선이다. 분열과 갈등을 치유할 수 있는 대통합의 장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7개월이나 앞당겨 치러지면서 유권자들에게 주어진 시간은 많지 않았다. 검증할 기간도 절대적으로 부족했다. 2012년 대선과 비교하면 TV토론 횟수가 3회에서 6회로 늘었고 대본 없는 스탠딩 토론까지 도입됐지만 현미경 검증에는 한계가 있었다. 토론은 네거티브 공방 위주로 흘렀고, 5명의 후보가 난립해 중구난방 식으로 진행되다 보니 집중도가 떨어졌다. 포퓰리즘은 더욱 기승을 부렸고 예전과 달리 가짜 뉴스도 판을 쳤다. 적폐 청산론, 보수 결집론, 공동 정부론 등 정치 구호만 난무했을 뿐 정작 후보 판단의 중요한 기준이 돼야 할 국가 비전이나 정책 능력 등은 뒷전으로 밀려났다.

그래서인지 “대통령감으로 찍을 후보가 보이지 않는다”는 유권자들도 제법 있는 것 같다. 통상 투표일이 다가오면 부동층은 줄어드는데 거꾸로 늘어나고 있다는 여론조사도 있었다. 그렇다고 ‘나 하나쯤이야’며 소중한 주권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투표는 민주주의의 토대이자 국민의 권리와 의무이기 때문이다. 1987년 국민의 힘으로 만들어낸 대통령 직선제는 참여를 전제로 한다. 최선이 없다면 차선, 차차선의 고뇌어린 선택이 필요한 시점이다. ‘선택의 고통’을 감내해야 더 나은 우리의 앞날을 보장받을 수 있다. 후보들의 공약과 비전, 인물 됨됨이 등을 끝까지 꼼꼼하게 살펴봐야 한다. 그런 다음 “내 대통령은 내 손으로 뽑는다”는 주인의식을 갖고 적극적으로 투표장으로 향해야 한다. 내가 던진 한 표가 희망의 씨앗이라는 각오로 말이다. 선거가 끝난 후에는 누구를 찍었든 결과에 승복하고 대한민국을 새롭게 도약시키는 데 함께 팔을 걷고 나서야 한다. ‘투표는 탄환보다 강하다’ ‘국민은 그들의 수준에 맞는 정부를 가진다’라는 말을 굳이 인용하지 않더라도 내 한 표는 국가와 국민의 장래를 바꿀 수 있다. 나아가 새로운 역사도 만들 수 있다. 선거를 흔히 민주주의의 꽃이라 한다. 그 꽃을 투표로 활짝 피워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