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전투표 열기 고무적이나 세밀하게 보완해야

입력 2017-05-05 17:32 수정 2017-05-05 21:24
대선에 처음 도입된 사전투표가 성황리에 치러졌다. 4, 5일 이틀간 전국 3507개 투표소에 1107만명이 몰려 투표율이 26.06%로 집계됐다. 2014년 6·4 지방선거와 지난해 4·13 총선의 각각 사전투표율 11.5%, 12.2%를 상회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선관위는 당초 15%대 투표율을 예측했었다. 인천국제공항과 서울역 등에는 투표를 마치고 떠나려는 시민들이 길게 줄을 지었으며, 가장 먼저 투표를 하기 위해 투표소 앞에 텐트를 치고 노숙을 한 이들도 있었다.

사전투표율이 오르면서 19대 대선의 최종 투표율도 8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사전투표가 이처럼 열띤 호응을 받은 것은 신분증만 있으면 전국 어느 투표소에서나 주권을 행사할 수 있는 편리성 때문이다. 선관위 측은 “5월 9일 투표는 지정된 투표소에 가야 하지만 사전투표는 어느 투표소에 가도 할 수 있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시행되는 제도”라고 했다. 또 공직선거법이 개정돼 투표 인증 샷 규제가 풀리면서 투표 자체를 축제처럼 즐기려는 분위기가 조성된 것도 한몫했다.

그러나 개선돼야 할 대목도 있다. 인천공항을 제외한 김포공항 등 다른 공항에는 사전투표소가 설치되지 않았으며, 기표소가 충분하지 않아 늘어선 줄을 보고 발길을 돌린 유권자도 적지 않았다. 선관위는 대선 준비기간이 짧아 투표소를 추가로 설치할 여유가 없었다는 입장이지만 안일한 일처리라는 비판이 나온다.

특히 대선 후보들은 사전투표 현장에서 표출된 국민적 열망을 새겨들어야 한다. 유권자들은 이구동성으로 이번만큼은 대한민국을 제대로 이끌 수 있는 좋은 대통령을 뽑고 싶다고 했다. 대선 이후 하루빨리 국정이 안정되고 분열된 나라가 통합되기를 기대했다. 그런데도 각 후보 진영은 높은 사전투표율에 따른 득실만 따지느라 분주하다. 그럴 시간에 국민들의 소망을 어떻게 하면 잘 담아낼 수 있을지 고민하는 게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