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에 대한 중국의 사드 보복이 3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중국은 소방점검을 이유로 중국 내 롯데마트 99개 점포 중 74개에 대해 강제로 영업정지 조치를 취했다. 13개 점포는 자율휴업 중이고, 나머지 12개도 개점휴업 상태다. 사드로 인한 그룹 전체 매출 손실은 5000억원에 달하고 상반기까지 이 상태가 지속되면 1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한다. 현실적으로 정부 정책을 거스를 수 없었던 롯데로서는 억울하기 짝이 없다.
사정이 이런데도 롯데는 2만명에 달하는 현지근로자 임금을 지불하고 있고, 임대료 역시 꼬박꼬박 내고 있다. 지난 3월 긴급 수혈한 자금도 바닥날 지경이다. 수입은 없는데 지출은 여전하니 어느 기업이라고 버텨낼 수 있겠나. 롯데 관계자는 “영업 재개를 요청했지만 중국 측은 ‘기다려라’는 말만 반복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렇다고 당장 사업을 철수할 수 없는 게 현실적 한계다. 중국은 롯데그룹의 전략 투자처이고, 그동안 막대한 자금을 투자했다. 이런 사정을 잘 아는 중국이 진퇴양난의 사정을 교묘히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치졸하기 짝이 없는 행태다. 이러고도 G2를 말할 자격이 있는가. 칼만 안 들었지 사실상 ‘강도’나 다름없다.
더 걱정되는 것은 새 정부가 들어선다고 해도 이 문제가 당장 해소될 것 같지 않다는 점이다. 정치권은 사드 배치의 절차적 정당성 논란으로 시끄러울 게 뻔하고, 그렇다고 이미 배치된 사드를 철수하기는 더 어렵기 때문이다. 오히려 사드 배치와 관련한 정치권의 서로 다른 목소리는 중국 측에 엉뚱한 기대를 갖게 했고, 이 때문에 보복이 장기화되고 있는 측면도 없지 않다. 정부는 국가 정책에 동원됐다는 이유로 국내 기업이 제3국에 보복당하는 것을 방치해선 안 된다. 정책적 지원과 함께 국민들의 격려와 관심이 절실한 이유다. 아울러 중국 측에 롯데에 대한 보복은 부메랑이 될 수 있음을 경고한다.
[사설] 중국, 사드보복 언제까지 지속할 건가
입력 2017-05-05 17:32 수정 2017-05-05 2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