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4일 “국민이 꼭 알아야 할 정책들이 많이 진행되고 성과도 구체적으로 나타났지만 탄핵 정국에서 쓰나미에 밀려가는 것처럼 다 무너져버린 게 참 안타깝다”고 밝혔다.
황 권한대행은 이날 서울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권한대행으로서 국정운영에 대한 소회를 묻는 질문에 잠시 침묵한 후 이같이 답했다. 이어 현 정부에서 추진했던 ‘4대악 척결’ ‘공무원 연금개혁’을 거론하며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가는 부분들은 그대로 이해해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유례없는 대통령 탄핵 상태에서 국정운영을 책임진 것에 대한 어려움도 나타냈다. 황 권한대행은 “어떤 부담을 졌다는 것이 무겁고 힘든 일이지만 그 과정이 안타까운 상황을 거쳐 진행돼 마음이 더 무거웠다”며 “하루에도 열 번이라도 내려놓고 나가서 자유의 몸이 됐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많이 했다”고 털어놨다.
대선 이후 거취에 대해선 “사의 표명은 가급적 빨리 하겠다”고 했다. 다만 국정공백 상황을 감안해 차기 대통령과 논의할 부분이 있음을 시사했다. 황 권한대행은 “국정이 망가지는 것을 그냥 팽개칠 수 없으니 그런 부분은 다음 대통령 되는 분과 상의할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정치권 진출 가능성에 대해선 “지금은 말씀드릴 단계가 전혀 아닌 거 같다”며 “시간을 조금 보겠다”고 즉답을 피했다.
사드(THAAD) 운용비용 논란과 관련해선 “무기는 기본적으로 쓰는 나라가 비용을 내는 것으로 미국이 쓴다면 미국이 내게 돼 있는 것”이라고 했다. 재협상 가능성에 대해서도 “완전 배치도 되지 않았는데 무슨 재협상을 하나”라며 “한·미 간 그 부분에 이견이 없다”고 강조했다. 황 권한대행은 세월호 사건 당일 기록 등을 ‘대통령지정기록물’로 지정해 은폐 논란이 일어나는 것에 대해선 “제가 왜 증거인멸을 하겠나. 법조인 출신은 고의로 불법을 저지를 수 없다”고 답했다.
황 권한대행은 2013년 2월 출범한 박근혜 정부 초대 법무부 장관으로 현 정부와 인연을 맺었다. 2015년 7월 국무총리에 지명된 후 지난해 12월부터 5개월간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국정을 운영해 왔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황교안 대행 기자간담회 “사의 표명은 가급적 빨리 하겠다”
입력 2017-05-04 1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