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과 거래’ 보도 파문, 해수부 분위기 어땠길래…

입력 2017-05-05 05:00

정권마다 부침을 겪었던 해양수산부는 차기 권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부 부처다. 7급 공무원발(發)로 ‘해수부와 문 후보가 거래를 했다’는 식의 보도가 나온 것도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후 지속돼온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대세론’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 나온다.

그동안 조직개편이 잦았던 해수부는 지난해 부처 경쟁력을 높이는 내용의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부 탄생 20주년을 맞아 진행한 용역으로 조직개편과는 무관하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당초 내년 초로 예정됐던 새 정부 탄생에 대비해 조직 방어, 즉 부가 해체되는 것을 막을 논리를 마련한 것이라는 시각이 있었다.

한때 조직개편 대상으로 거론되던 해수부였지만 문 후보 당선 기대감이 높아지자 분위기가 급변했다. 문 후보가 청와대 비서실장 시절 보좌했던 노무현 전 대통령이 해수부 장관 출신이라는 점도 작용했다. 문 후보는 지난 1월 부산을 방문한 자리에서 ‘강력한 권한을 가진 해수부 부활’을 약속하기도 했다.

이어 지난 3월에는 오거돈 전 해수부 장관이 문 후보 캠프에 합류했다. 오 전 장관은 지난달 부산에서 열린 한 토론회에서 “해수부에 수산 관련 차관을 신설하는 문제가 진행 단계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주요 대선 후보들이 해양경찰의 부활을 공약한 가운데 해경이 다시 해수부로 편입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해경은 박 전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 발생 한 달 뒤인 2014년 5월 19일 해경 해체를 전격 선언하면서 국민안전처로 흡수됐다. 지난 2월 문 후보는 해경 부활을 공약했다. 이어 같은 당 위성곤 의원이 지난 3월 해양경찰청 부활을 골자로 하는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해경을 해수부 소관의 청으로 격상시킨다는 내용이다. 세월호 참사 전 해경청은 해수부 산하의 차관급 외청 기관이었다.

김영석 해수부 장관은 4일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에서 “조직개편 방안을 준비하고 있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정치적 거래는 없다고 일축하면서도 “정부 어느 부처이건 과도기적인 과정에서 조직에 대한 걱정을 하고 있는 것은 사실로 알고 있다”고 에둘러 답했다.

세종=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