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무차별 확산되는 가짜 뉴스에 속지 말아야

입력 2017-05-04 17:28
5·9 대선이 막바지로 치달으면서 우려했던 일이 현실화되고 있다. 유권자들을 현혹하기 위한 가짜 뉴스가 인터넷과 SNS를 통해 무차별 확산되고 있고 안보 불안 심리를 자극하려는 구태의연한 색깔론도 등장했다. 후보들과 각 당은 표만 된다면 뭐든지 하겠다는 식이다. 이러한 과열·혼탁은 선거 후에 더 큰 후유증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제 SNS에는 ‘재외국민 투표 출구조사’라는 제목의 글이 퍼졌다. 미국과 중국의 출구조사에서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1위를 차지했다는 내용인데 사실이 아니다. 출구조사 자체가 없었다. 자유한국당은 이를 SNS에 올린 국민의당 전남도의원을 중앙선관위에 고발했다. 또 더불어민주당의 전남도의원은 홍준표 한국당 후보가 안 후보를 앞섰다는 허위 여론조사 결과를 퍼뜨린 혐의로 검찰에 고발됐다. 한국당 경남도당은 ‘인공기 투표 독려 홍보물’을 만들었다가 당국으로부터 조사를 받고 있다. 페이스북에 투표 독려를 하면서 기호 1번과 3번 옆에 북한 인공기를 그려 넣었고 2번에는 태극기와 함께 홍 후보 이름을 명시한 것이다. 이 같은 사이버 위반 행위는 지난 1일까지 3만4711건이 단속됐다. 18대 대선의 5배가 넘는 수치이며 이 가운데 허위사실 공표만 2만2499건에 달한다.

가짜 뉴스는 유권자들이 속아 넘어가기 쉽고 선거 전에 거짓을 바로잡기 어렵다는 점에서 그 폐해가 심각하다. 지난해 미국 대선에서도 가짜 뉴스가 판을 쳤는데 한 기관은 미 유권자들이 언론의 진짜 뉴스보다 SNS를 통해 유통된 가짜 뉴스를 더 많이 보고, 더 신뢰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한국 유권자들도 거짓 뉴스에 속아 잘못된 투표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대선 후보 진영이 직간접적으로 가담한 가짜 뉴스는 향후 국정 운영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가짜 뉴스 때문에 선거에 졌다는 인식이 지지자들 사이에 남아 있다면 패배를 흔쾌히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대선 다음날 곧바로 취임하는 차기 대통령과 집권세력으로서도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모든 후보와 정당은 선거 이후의 협치와 연대는 물론 국민통합 차원에서 가짜 뉴스가 더 이상 유통되지 않도록 발 벗고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