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의도 데스킹 과정서 왜곡 제목도 자극적으로 변경 참사”

입력 2017-05-04 02:21
SBS는 2일 ‘차기 정권과 거래? 인양 지연 의혹 조사’라는 보도에서 해양수산부가 세월호 인양을 고의로 지연시켰다는 의혹을 세월호 선체조사위가 조사할 방침이라는 내용을 전했다.

논란은 SBS 취재진이 인양 지연 의혹을 보도하는 과정에서 인용한 해수부 공무원의 ‘폭탄 발언’이 나오면서 시작됐다. 이 공무원은 취재진에게 “솔직히 말해서 이거(세월호 인양)는 문재인 후보에게 갖다 바치는 거거든요”라며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인양 지연 의혹의 당사자로 지목했다. 이어 “문 후보가 비공식적으로나 공식적으로 해수부 제2차관을 약속했다. 그다음에 해경도 집어넣고, 이런 게 있다”며 인양 지연이 해수부 조직 확대 문제와 연계됐을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후 정치권에서는 해수부가 문 후보를 위해 세월호 인양을 고의로 지연시켰다는 논란이 확산됐다.

전국언론노조 SBS 본부는 3일 성명서를 통해 해당 보도가 당초 취재기자의 발제 의도와는 다르게 보도된 ‘보도 참사’라고 비판했다. 노조는 “문제의 기사는 박근혜정권 내내 시간을 끌던 해수부가 탄핵 국면이 전개되면서 갑자기 인양 작업에 속도를 내는 등 정치권 눈치보기로 일관하는 행태를 비판하기 위해 발제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조는 또 “박근혜정권 시절 인양 지연과 눈치보기를 지적하는 문장과 인터뷰가 초고에는 있었지만 데스킹(기사 수정) 과정에서 통째로 삭제됐다”며 “제목도 ‘인양 고의 지연 의혹…다음달 본격조사’에서 ‘차기 정권과 거래? 인양 지연 의혹 조사’라는 자극적 내용으로 변경됐다”고 부연했다.

노조는 이어 “정치적 외압이나 부적절한 개입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며 “그렇다해도 사회적 공기인 지상파 방송에서 당연히 지켜져야 할 기본적 원칙을 소홀히 하면서 신뢰를 스스로 무너뜨린 책임을 면할 길이 없다”고 밝혔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