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조직 확대를 위해 세월호 인양을 고의로 지연했다는 보도에 대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정권마다 정치적 외풍을 겪었던 부처로서 이번 사태의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해수부는 세월호 인양을 고리로 차기 정권과 거래를 시도했다는 보도가 나오자 즉각 반박자료를 냈다. 이어 보도 다음 날인 3일에는 이철조 세월호인양추진단장 겸 현장수습본부장이 목포신항에서 직접 브리핑을 갖고 의혹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세월호 인양이 지연될 수밖에 없었던 기술·환경적 요인을 일일이 나열했다.
일단 해수부는 감사관실을 통해 보도에 등장하는 해당 공무원을 색출하는 작업에 돌입했다. 색출 이후에는 징계가 확실시된다. 어떤 수위의 징계가 가능할지 검토에도 들어갔다. 이 단장은 “해수부 직원이 해당 발언을 한 것이 사실이라면 공직자로서의 부적절한 언행에 대해 엄중히 일벌백계토록 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파문을 일으킨 공무원이 고위 공직자 또는 인양 관계자는 아닌 것으로 해수부는 파악했다.
색출을 하고 징계 절차를 밟는다 해도 이번 사태로 해수부는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해양경찰의 재편입, 2차관 신설 등 해수부가 내심 차기 정권에 기대하던 숙원들이 물거품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세종=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당혹스러운 해수부
입력 2017-05-04 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