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SNS에는 ‘재외국민 투표 출구조사’라는 제목의 출처 불명의 수치가 퍼졌다. 미국과 중국 출구조사에서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1위를 기록했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이는 거짓이었다. 재외국민 투표는 출구조사 자체가 불법이다. 더불어민주당은 가짜뉴스로 규정했고 자유한국당은 이를 SNS에 올린 국민의당 전남도의원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고발 의뢰 조치했다.
국민의당 선대위 법률지원단은 또 이날 허위 여론조사 결과를 퍼뜨린 혐의(공직선거법 위반)로 민주당 소속 전남도의원 A씨를 광주지검에 고발키로 했다. 국민의당은 “A씨가 지난 1일 ‘여의도연구소 2017. 4. 28. 여론조사’라는 제목으로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가 안 후보의 지지율을 앞선다’는 내용의 글을 단체 카톡방에 유포했다”고 지적했다.
대선이 여론 풍향을 알 수 없는 깜깜이 상태에 접어들면서 ‘가짜뉴스’ 경계령이 떨어졌다. 특히 지지층 결집을 위한 허위 여론조사 유포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SNS 등 뉴미디어 활용도가 높아져 전파력은 커졌지만, 한 번 퍼진 가짜뉴스는 상대 진영의 네거티브로 다시 확대·재생산돼 회수가 어렵다. 유권자 혼란을 가중시키고 대선 이후 국민 분열 등 갈등도 심화시킨다. 각 후보와 정당들이 대선 막판 지지층 결집과 부동층 흡수를 겨냥해 ‘한방’을 터뜨리려는 유혹에서 스스로 벗어나야 한다는 지적이다.
문재인 민주당 후보 측은 이날 전국 2만6306명의 국민특보단을 투입해 가짜뉴스 대응을 위한 24시간 감시체제에 돌입했다. 김태년 선대위 특보단장은 기자회견에서 세월호 인양 지연 보도를 ‘최악의 가짜뉴스’라고 지적하며 “한국당과 국민의당이 가짜뉴스 공조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국민의당은 가짜뉴스 여부를 가리고 관련 제보 등을 받는 ‘팩트 안 팩트’라는 제목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별도 운영 중이다. 한국당과 바른정당도 각각 미디어팀과 공명선거추진단, 부정선거감시단 등을 중심으로 매일 가짜뉴스를 걸러내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가짜뉴스는 주로 상대 후보 흠집내기 같은 교란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선관위가 지난 1일까지 단속한 사이버위반 행위는 3만4711건으로 이미 18대 대선의 5배를 넘어섰는데, 이 중 허위사실 공표만 2만2499건에 달한다. 문 후보는 ‘문재인이 김정일 북한 노동당 위원장에게 보낸 편지’ 등 안보관을 겨냥한 허위뉴스에 시달렸다. ‘나라를 나라답게’라는 현수막 글귀를 ‘소국은 소국답게’로 바꾼 합성사진도 유포됐다. 안 후보는 ‘MB아바타’ ‘갑철수’ 등 논란으로 타격을 입었다. 최근 논란이 됐던 ‘박근혜 전 대통령 위중설’은 보수층 결집을 노린 대표적인 가짜뉴스로 꼽힌다.
각 후보 측은 대선 직전 1주일은 여론조사 공표 금지기간인 데다 사실 여부를 검증할 시간도 부족해 이 같은 흑색선전이 더욱 광범위하게 퍼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선관위의 여론조사 관련 적발 건수도 벌써 1만건이 넘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가짜뉴스 주의보… ‘깜깜 판세’ 노린다
입력 2017-05-04 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