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선거 사상 처음으로 사전투표가 4, 5일 이틀간 전국에서 실시된다. 2013년 도입된 사전투표는 2014년 6·4 지방선거와 지난해 4·13 총선에서 치러져 각각 11.5%, 12.2%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총 투표율 대비 20.2%와 21.0%의 비중을 차지했다. 중앙선관위는 5·9 대선에서 15%대 투표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당락에 변수가 될 만한 수치다.
그런데 선거일을 불과 닷새 앞두고도 마음을 정하지 못했다는 유권자들이 적지 않다. 여전히 찍을 만한 후보가 없다고 토로한다. 원인은 후보들이 제공했으며 6회의 TV토론도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제 마지막 토론에서도 5명의 후보는 미래보다는 과거에 얽매여 감정싸움을 벌였다. 주제는 국민 소통과 통합 방안이었지만 ‘적폐 대상’ ‘계파 패권주의’ ‘보수 적자’ 논쟁을 했고 화형, 궤멸, 상왕, 배신, 비열 같은 단어가 난무했다. 이러니 유권자들이 선뜻 표를 줄 후보를 고르지 못하는 것이다. 시간총량제 자유토론과 스탠딩 방식이 도입됐지만 내용은 못 미쳤다.
그렇다고 해서 선택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이번 대선이 어떤 선거인가. 대통령 파면이라는 국가적 위기 상황을 겪은 대한민국에 새로운 리더십을 세우는 중차대한 작업이다. 최선의 후보가 없다면 차선의 후보에게 투표를 해야만 최악의 사태를 되풀이하지 않을 수 있다. 연휴 등으로 선거 당일 투표할 수 없다면 사전투표를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다. 적극적인 참여만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격언이 이번 선거만큼 잘 맞는 경우도 없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유권자들이 유념해야 할 대목이 있다. 우선 ‘누구를 지지해도 사표(死票)가 아니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유력 후보들은 그간 ‘A를 찍으면 B가 당선될 것’이라는 식으로 사표 방지 심리를 자극해 왔다. 투표해도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가 당선되지 못할 것이라는 판단에 아예 투표장에 가지 않겠다는 유권자가 많은 게 사실이다. 하지만 투표를 하면 거기에 부응하는 의미가 있음을 알아야 한다. 진보가 됐든, 보수가 됐든 당선 유무와는 별개로 자신이 택한 당과 후보가 앞으로 성장하는 데 자양분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여론조사 공표가 금지된 3일부터는 인터넷과 SNS에 살포되는 자극적인 기사와 수치에 현혹돼서도 안 된다. 벌써부터 경쟁 후보를 헐뜯고 자신들에게 유리한 내용을 담은 가짜뉴스가 돌고 있다고 한다. 선거일이 가까워질수록 더 기승을 부릴 가능성이 높다. 이에 휩쓸리지 말고 남은 기간에는 본인의 선택 기준을 차분하게 가다듬어야 한다. 후보의 리더십과 비전, 공약 등을 내 기준에서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다. 집으로 배달된 선거 책자와 각 당의 홈페이지를 참고해도 좋다. 이것들만 지켜도 투표장에 가서 후회 없는 선택을 할 수 있다.
[사설] 투표에 참여해야 원하는 세상 만들 수 있어
입력 2017-05-03 1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