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아동·청소년 100명 가운데 2∼3명이 고도비만이며 이들은 각종 성인병이 한꺼번에 나타나는 ‘대사증후군’ 위험이 정상체중인 또래보다 최대 66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도비만은 체중(㎏)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인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일 때 해당된다.
고려대 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이기형 교수팀은 2001∼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가한 2∼19세 1만9593명의 비만도 분석 결과를 국제학술지(소아 내분비·대사학 저널)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2일 밝혔다.
아동·청소년의 고도비만 유병률은 1998년 0.7%에서 2001년 1.8%, 2014년 2.4%로 꾸준히 늘었다. 특히 10∼19세의 경우 1998년 0.9%에서 2014년 4.7%로 5.2배 폭증했다.
고도비만은 각종 대사질환으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내당능장애(당뇨 전 단계)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복부비만 등이 한꺼번에 나타나는 ‘대사증후군’ 동반 비율이 남자 51.9%, 여자 33.5%나 됐다.
BMI 18.5∼22.9인 정상체중군의 대사증후군 동반율은 남녀 각각 1.6%, 1.2%였다. BMI 25∼29.9인 비만군은 남녀 각각 22.2%, 20.3%였다.
연구팀은 “고도비만인 경우 대사증후군 위험이 정상체중군보다 42∼66배, 비만군에 비해선 2∼3배가량 높았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아동청소년이 고도비만이 되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정확한 체중인식을 통해 스스로 체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아동·청소년 고도비만 16년새 5.2배 증가
입력 2017-05-03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