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명의 사망자와 25명의 부상자를 낸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 크레인 충돌 사고는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한 대한민국 만들기가 헛구호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사고 원인을 수사 중인 경찰이나 삼성중공업은 현장 작업자들의 부주의로 사고가 났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크레인 기사와 신호수는 무전으로 교신을 하는데 이들 간의 신호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해 800t급 골리앗 크레인과 32t급 타워크레인이 충돌했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인재(人災)다.
사망자 전원은 건조 중인 20m 높이의 해양플랜트 꼭대기 층의 근로자 쉼터에서 휴식 중에 참사를 당했다. 삼성중공업이 쉼터를 크레인의 작동반경 안에 설치한 것도 안전불감증을 여실히 보여준다. 안전수칙상 작업장 안에는 휴식 공간을 못 두게 돼 있다. 그러나 5층, 10층 높이에서 바닥까지 내려가면 힘드니까 편의를 위해 화장실 등을 설치해줬다고 한다.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이번 참사는 최근 기업들이 위험한 일을 외주화하면서 협력업체 비정규직이나 파견직 등에게 산업재해가 집중되는 문제점을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 근로자의 날에 삼성중공업 직원들은 쉬는데 다음달 공기(工期)를 맞추기 위해 협력업체 직원들은 일하다 변을 당했다.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지난달 원·하청 관계가 일반적인 조선, 철강, 자동차, 화학 등 고위험 업종 51개 업체를 대상으로 원청과 하청업체 근로자에게 각각 발생한 산재를 통합한 결과 원청만 집계한 것보다 4배 높아진 것도 이를 방증한다.
우리나라의 산재 사망사고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0년 넘게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매년 2400명이 산재로 목숨을 잃는다. 산재공화국의 오명을 벗으려면 기업주에 대한 처벌과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 하청 근로자의 산재에 대해 원청업체에 책임을 물어 ‘위험의 외주화’를 차단하는 일도 시급하다.
[사설] 근로자의 날에 일어난 삼성重 크레인 참사
입력 2017-05-02 1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