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은 중동 첫 민주주의 국가이지만 일상 생활 등 많은 분야 종교법 제한 받아

입력 2017-05-02 00:07
예루살렘 유대학연구소 소장 이강근 박사가 1일 오후 서울 광진구 장로회신학대에서 ‘현대 이스라엘의 정치제도’를 주제로 특강을 하고 있다.

현대 이스라엘은 민주주의 국가인가 종교국가인가.

이강근 예루살렘 유대학연구소 소장은 1일 서울 광진구 장로회신학대 세계교회협력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현대 이스라엘 정치제도 특강에서 “중동 최초의 민주주의 국가인 이스라엘은 종교법(유대법)이 강하게 지배하는 독특한 정치적 토대 위에 서 있다”고 설명했다. 장신대 성지연구원(원장 배희숙 교수)의 초청으로 방한한 이강근 소장은 목사이면서 히브리대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은 이스라엘 정치 전문가다.

그는 민주주의 국가이면서 종교법이 우위에 있는 예로 ‘통곡의 벽 갈등’을 설명했다. 이스라엘 여성단체들은 통곡의 벽에 남성과 여성구역이 나뉘어 있는 것이 불합리하다며 헌법소원을 내 승소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여성이 남성구역에 의도적으로 들어갈 경우 종교법에 따라 7년 징역을 살게 된다. 이 소장은 “이스라엘은 종교와 관련된 모든 분야는 종교법의 제한을 받는다”면서 “국가의 기본 토대가 유대교에 있는 만큼 이스라엘에선 종교와 관련되지 않은 분야가 사실상 없어 종교법의 권한이 막강하다”고 전했다.

이스라엘 국회인 크네셋에서 종교정당이 제1당이 되지 않고도 막강한 힘을 갖는 이유도 설명했다. 그는 건국 후 지금까지 제3당의 위치를 놓친 적이 없는 종교정당이 제1당과 제2당 사이에서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하며 유대교의 이익을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소장은 “보통 정치적 좌파와 우파로 나뉜 제1당과 제2당은 전시가 아니면 연합한 일이 없다”면서 “결국 제3당의 지위를 한 차례도 놓친 적 없는 종교정당이 두 당을 오가며 유대교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건국 당시 시온주의자들과 유대교인의 타협(Status Quo)이 헌법보다 굳건한 지위를 갖고 있다는 점도 이스라엘 정치의 특징이다. 이 소장은 “당시 타협에 의해 안식일이 국가 공휴일로 정해졌고 모든 공공식당에서 전통 유대인의 식사법인 코셔를 지키고 있다”면서 “결혼은 반드시 랍비의 승인을 받게 하고 종교인 학교의 자치권을 인정하는 규칙이 헌법처럼 지켜지고 있다”고 했다.

이 소장은 “불합리해보이는 정치 시스템이 지금까지 사회적 갈등을 일으키지 않는 이유는 팔레스타인과의 갈등 때문”이라며 “이스라엘은 외부 갈등을 통해 내부의 긴장을 완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글·사진=장창일 기자 jangc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