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번째 암’으로 불리는 전이·재발암은 처음 발생한 암보다 치료가 어렵다.
원자력의학원 엄홍덕(사진) 박사팀이 암세포 안에 존재하는 p53과 p21단백질의 결합체가 이런 암 전이와 재발을 막는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발견했다고 1일 밝혔다. p53 단백질은 암의 재발과 전이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번 연구에서 p53 단백질이 홀로 이런 역할을 하는 게 아니라 세포 성장을 조절하는 p21 단백질과 ‘짝’을 이뤄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을 실험으로 규명해냈다.
폐암과 대장암을 앓는 쥐를 통해 p53, p21 단백질 결합체가 암의 전이 및 재발 촉진 인자(Bcl-w, Bcl-XL, Bcl-2 등)의 활동을 억제함을 관찰한 것이다. 이는 p53 단백질과 p21 단백질이 서로 붙지 못하면 암 전이와 재발이 촉진됨을 시사한다. 연구진은 폐암 대장암 신경아세포종 환자들에게서 p53, p21 단백질 결합체가 암세포 안에 없으면 전이와 재발이 잘 일어나는 등 예후가 좋지 않음을 확인했다.
엄 박사는 “암 전이와 재발 예측은 물론 새로운 항암치료 기술 개발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두번째 암’ 전이·재발암 막는 길 열렸다
입력 2017-05-01 18:13 수정 2017-05-02 0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