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정보기술과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도시의 서비스를 높이는 스마트시티 구축에 나선다. 울산시는 1일 오전 시청사에서 스마트시티 구축 종합계획을 위한 보고회를 열었다.
시에 따르면 스마트시티 구축 사업 기간은 2021년까지 5개년으로 계획됐으며 사업비는 총 860억원 규모다. 통합관제센터로 사용될 울산 스마트시티센터는 울산시 구청사 남쪽에 지하 2층, 지상 5층 규모로 내년 3월 완공할 예정이다.
스마트시티는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 모바일 등 최신 ICT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로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도시 기능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신개념 도시를 가리킨다.
울산은 자동차·조선업종 관련 공정설비 등이 디지털화돼 산업과 ICT 융합이 비교적 용이하다. 게다가 주력산업인 조선업의 경기회복과 관련 중소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그리드 등 산업분야의 스마트화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보고회에서는 ‘안전과 산업 혁신을 선도하는 미래도시 스마트 울산 실현’을 비전으로 안전한 친환경 도시 구축, 산업 분야 경쟁력 강화, 문화·관광 브랜드 제고, 삶의 질적 향상 추구, 개방을 위한 초연결 도시 구축 등 5대 추진전략이 발표됐다. 또 재난·안전, 교통, 산업·에너지, 문화·관광, 생활·환경, 인프라·운영 등 6대 분야 26개 과제도 제시됐다.
편의·안전에 중점을 둔 스마트시티를 염두에 두고 있는 울산시는 이 중 ‘ICT(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스마트 홍수재난 관리시스템’ ‘재난안전체험 가상교육시스템’ ‘스마트 교통정보제공 서비스’를 올해 우선 과제로 선정해 추진하기로 했다.
국내 최대 석유화학단지가 위치하고 있는데다 인근 고리와 월성에 원자력발전소가 있어 화재폭발 등 재난재해 위험이 상존하고 있고, 도심하천의 침수·범람에 대비한 재난예방체계구축 등 안전 분야에 대한 스마트시티 구축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스마트시티가 구축되면 새 일자리가 창출되고 울산 특화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된다”며 “다양한 도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도시 기능의 효율성과 시민 생활의 편리함도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울산시, 산업화·안전 역점 ‘스마트시티’ 추진
입력 2017-05-01 1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