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자율주행차 개발 경쟁에 뛰어들었다.
국토교통부는 1일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이 연구 중인 자율주행차의 임시운행을 허가했다고 밝혔다. 국내 전자업체 중 자율주행차 운행 허가를 받은 건 삼성전자가 처음이다.
국토부가 지난해 2월 시험·연구 목적으로 운행 허가를 내준 이래 19번째다. 그동안 현대차, 기아차, 현대모비스 등 현대차그룹 계열사, 서울대, 한양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학계에서 주로 신청했다. 올해 2월에는 네이버의 기술연구개발 법인 네이버랩스가 18번째로 허가를 받았다.
삼성전자의 자율주행차는 현대차 그랜저에 레이더, 카메라, 레이저 반사광을 이용해 물체와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 등을 장착했다. 도로를 주행하면서 얻은 정보로 스스로 학습해 운행능력을 키우는 딥러닝 알고리즘도 적용한다.
삼성전자는 “초기 단계인 자율주행 솔루션을 도로에 적용하는 선행연구일 뿐”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특히 자율주행차 개발이 완성차 진출과 전혀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삼성전자가 장기적으로 구글, 애플, 우버 같은 IT기업처럼 자율주행차 솔루션을 개발할 것은 분명해 보인다. 삼성전자는 2015년 말 전장사업팀을 신설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전장기업 하만을 80억 달러(약 9조4000억원)에 인수하며 전장사업 확대를 천명했다. 완성차는 아니지만 자율주행차를 비롯해 전장사업 전반을 삼성전자의 미래 먹거리로 삼아 연구개발을 본격화하려는 행보로 풀이된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삼성 자율주행차 도로 달린다
입력 2017-05-01 1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