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대통령 선거 5당 후보들은 28일 열린 선거방송토론위 주관 2차 TV토론회에서 일자리 창출 방안, 증세 등 재원 마련 방안, 중소기업 지원 등 경제공약 문제로 격돌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상대 후보들로부터 일자리 공약 재원 문제를 집중 추궁을 받았다.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는 “문 후보가 주장하는 소득주도 성장의 경우 가계 소득을 올려야 성장이 가능하다는 것인데 가계가 돈을 어디서 버는지 명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중소기업이 두 명을 신규 채용하면, 정부가 한 명의 임금을 지원하는 내용의 중소기업 대책 공약에 대해 “한 명 더 채용하려고 2명을 고용하지 않고, 3년 후 다시 해고할 수도 없다. 제반 시설도 필요한데 재원 부분이 빠졌다”고 했다. 문 후보는 ‘일자리 100일 플랜’ 제목의 손팻말을 활용하며 “일자리 위기를 극복하는 것보다 더 세금이 절실하게 필요한 분야가 있느냐”고 주장했다.
안 후보는 복지공약 재원 문제로 공격받았다. 유 후보는 “안 후보 공약을 실천하려면 200조원이 필요한데, 하늘에서 떨어지는지 (재원마련) 방법이 안 보인다”며 “박근혜정부의 ‘증세 없는 복지’와 거의 비슷하다”고 했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는 문 후보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문제로 맞붙었다. 홍 후보는 “2011년 한·미 FTA 체결 때 민주당이 ‘을사늑약’이라고 했다. 저보고는 매국노라고 했다”며 “지금 와서 트럼프가 불평등이라고 개정을 요구하고 있는데 민주당이 무슨 말을 할지 의아스럽다”고 주장했다. 이에 문 후보는 “한·미 FTA를 체결한 사람이 우리 아니냐”고 맞섰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홍 후보와 노조의 파업권 문제로 충돌했다. 홍 후보는 “노조원이 먹고살 게 없을 때 스트라이크(파업)를 하는 것”이라며 “연봉 6000만원이 넘으면 노조원이 아니다. 저는 자영업자로 본다”고 말했다. 이에 심 후보는 “파업 등 노동권은 헌법이 보장하는 권리”라며 “그것을 부정하면 대통령이 될 기본 자격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경제 분야 TV토론]‘文 일자리 공약’ 놓고 격돌
입력 2017-04-28 21:37 수정 2017-04-29 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