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北 외교고립’ 압박

입력 2017-04-28 17:58 수정 2017-04-29 01:24

미국이 대북 압박 수단으로 북한의 국제기구 회원국 자격 재검토와 북한의 해외공관 폐쇄 등 ‘외교적 고립’ 카드를 꺼냈다.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28일(현지시간) 북한 핵·미사일 대응을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특별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모든 대북 옵션이 테이블에 있다”며 고강도 조치를 국제사회에 촉구했다.

틸러슨 장관은 “서울과 도쿄에 대한 북한의 핵 공격 위협은 이제 현실이고, 미국에 대한 위협도 시간 문제다. 북한과의 외교관계를 정지·격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세컨더리 제재를 이행할 의지를 내비치며 “북한이 행동하기 전에 안보리가 대응책을 서둘러야 한다”면서 “지금 행동 안 하면 재앙적 결과가 이어질 것”이라고 국제사회의 대응을 요구했다. 또 “중국이 유일무이한 지렛대”라며 중국을 압박했다.

틸러슨 장관은 회의를 앞두고도 중국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전날 미 폭스뉴스에 출연해 “미국의 대북정책의 성공 여부는 중국의 참여에 달려 있다”면서 “중국이 북한에 6차 핵 실험을 한다면 독자적으로 제재하겠다고 경고한 사실을 미국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의 핵포기를 전제로 “북한과 직접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도 했다. 틸러슨 장관은 미국 공영라디오 NPR과의 인터뷰에서 “(북미 대화는)우리가 이 문제를 해결하고 싶은 방법이다. 미국은 북한 체제 붕괴나 빠른 통일을 추구하지 않는다. 한반도 비핵화를 원한다”고 말했다.

앞서 마크 토너 국무부 대변인 대행은 27일 정례브리핑에서 “대북 외교적 압박 수단으로 북한의 국제기구 회원 자격 재검토와 함께 북한의 해외 공관이 설치된 국가들이 해당 공관이 필요한지, 북한이 그럴 자격이 있는지를 고려하도록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전날 브리핑에서도 “북한이 회원으로 있는 국제 단체에서 북한을 추방하거나 각국의 북한대사관 폐쇄 방안 등이 논의돼 왔다”고 전했다. 미국은 북한 공관의 불법 외화벌이 단속과 외교업무 중단, 공관 폐쇄 조치, 외교관계 단절 등 상황 변화에 따라 강도를 높이는 조치를 각국에 요청하는 방안을 검토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토너 대행은 유엔 회원국들과 “(외교관계 단절 등) 모든 것이 논의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관영 언론을 통해 “북한이 핵실험을 한다면 북·중 관계는 회복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하며 미국의 ‘중국 역할론’에 호응했다. 환구시보는 사설을 통해 “혈맹이던 북한이 이제는 중국 국익을 훼손하고 있다”면서 “북한이 핵실험 등 도발을 계속한다면 중국은 더 강력한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를 지지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북한 김정은 등장 이후 아직 북·중 간 정상 회동이 없다. 북·중 관계는 더 악화할 수 있다”며 “북한 정권에 이성이 남아 있다면 중국과 군사적 대립을 하는 상황까지 가지 않겠지만, 설사 그렇더라도 중국은 국가안보를 수호할 능력이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노석철 기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