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문재인·안철수, 통합·공동 정부 진정성으로 경쟁하라

입력 2017-04-28 18:44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28일 권력 분산과 협치를 내건 ‘개혁공동정부’ 구상을 밝혔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세력과 패권주의 세력을 제외한 모든 정파가 참여하는 공동정부를 구성하겠다는 게 요지다. 국무총리 추천 권한을 국회로 넘겼다. 개헌을 국회와 함께 추진하겠다는 뜻도 분명히 했다. 중도·보수 진영의 결집을 극대화하려는 뒤집기 승부수로 풀이된다. 김종인 전 민주당 대표 합류가 현실화되고, 바른정당의 화답이 있을 경우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독주 체제에 영향을 미칠 변수가 될 전망이다.

문 후보 측은 통합정부 카드로 맞섰다. 국민으로부터 인사 추천을 받는 ‘국민추천제’와 총리의 인사제청권 실질 보장을 내걸었다. 다만 정당 연대보다는 기존 야당과의 정책 연대에 무게를 두고 있다. 문 후보는 대탕평 원칙에 따라 비영남권 인사를 총리로 기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인재풀이 충분한 만큼 선명성 부각에 치중하며 독주 체제 굳히기에 집중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양 측이 통합 또는 공동 정부 카드를 꺼낸 것은 연정 또는 협치 없이는 국정 운영이 불가능한 정치 현실이 반영된 선택이다. 그럼에도 집권 후 정부 구상을 미리 보여줘 유권자의 표심을 잡겠다는 전략은 평가할 만하다. 아직은 완전하다고 할 수 없다. ‘대선 이후’를 놓고 TV토론회 등에서 경쟁하며 구체성을 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상대방의 정책이라도 배울 점이 있다면 과감히 차용하는 전술이 요구된다.

통합의 진정성을 보여줄 후속 조치도 고민할 단계다. 인수위도 없이 출범하는 차기 정부로선 대선 이후 혼란을 최소화하는 길도 모색해야 한다. 총리와 청와대 비서실장, 안보·경제 라인을 미리 발표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역풍을 신경 쓰기엔 우리 앞에 놓인 한반도 및 경제 위기가 너무 위중하다. 후보의 약점을 보완하는 인물을 기용할 경우 득표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말이 아닌 한발 앞선 실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