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집권 땐 非영남 총리, 공개 검토”… ‘호남 총리’ 시사

입력 2017-04-27 17:57

문재인(얼굴)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집권 시 비(非)영남 출신을 초대 총리로 모시겠다”고 말했다. 정부조직 개편과 관련해서는 현재 산업통상자원부의 ‘통상’ 기능을 외교부로 이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문 후보는 27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총리는 ‘대탕평·국민대통합’ 관점에서 인선할 계획”이라며 “특정 지역을 지금 단계에서 언급하기 어렵지만 염두에 둔 분이 있다”고 말했다.

문 후보는 “그분을 공개해서 국민들의 예측 가능성도 높여주고, 판단도 구해보고, 그분의 검증도 대비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며 “그런데 우리 정치문화에서 순수하게 받아들일지 등 부정적인 사유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없는 상황에서 정작 후보들은 선거운동을 하느라 경황이 없다”며 “선거 막바지에 가면 국민들께 가시적인 모습을 보여드리고 다음 정부를 구상하는 준비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후보의 발언은 호남 총리를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문 후보 측은 검증 과정 등을 고려해 호남 외 지역 출신을 포함한 2∼3배수의 인사들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협치 구상에 대해서는 “정권 교체를 하면 안정적인 의석 확보가 필요하다. 1차 협치 대상은 국민의당·정의당 등 기존 야권 정당들”이라며 “국민의당은 뿌리가 같은 만큼 통합(가능성)도 열어 놓고 있다”고 말했다.

문 후보는 “정권이 바뀌었다고 정부 조직을 심하게 바꿔서 있는 부처는 없애고 다시 새로 만드는 방식은 별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다만 통상 부문의 외교부 환원, 미래창조과학부에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역할 부여 등의 구상을 밝혔다. 문 후보는 “통상 부문을 산업자원부로 보낸 것은 우리의 통상 역량을 약화시킨 요인이 됐다”고 설명했다.

남북 관계에 대해선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강행하면 상당 기간 대화가 불가능해진다”고 경고했다. 또 “핵잠수함이 우리에게 필요한 시대가 됐다.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을 논의하겠다”며 핵추진 잠수함 도입 의사도 밝혔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