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 변동률의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졌다. 개발 호재가 풍부한 제주와 부산, 서울은 크게 올랐지만 관광업이 타격을 받은 경북·대구·충남 등은 하락했다.
국토교통부는 전국 1243만 가구 공동주택의 공시가격을 28일 관보에 게재한다고 27일 밝혔다.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전국 평균 4.44% 상승해 지난해(5.97%)보다 상승폭이 둔화됐지만 4년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수도권이 5.88%, 지방광역시가 3.49% 상승했다. 나머지 시·도는 0.35% 떨어졌다.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제주(20.02%)였다. 인구 유입이 꾸준한 데다 서귀포혁신도시 등 각종 개발사업으로 주택 수요가 증가해서다. 부산(10.52%) 강원(8.34%) 서울(8.12%)이 뒤를 이었다. 경북(-6.40%) 충남(-5.19%) 대구(-4.28%)는 5% 안팎의 하락률을 보였다.
6억원 이하 주택은 3.91%, 6억원 초과 주택은 8.68% 올라 고가주택의 상승률이 두드러졌다. 전용면적 85㎡ 이하 주택은 4.63%, 85㎡ 초과는 3.98% 뛰어 중소형 주택의 상승률이 더 높았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공동주택은 서울 서초구 서초동 트라움하우스 5단지로 전용면적 273.64㎡의 공시가격이 66억1600만원을 기록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4.0% 올랐다.
한편 1분기 전국 땅값은 0.74% 상승해 2010년 11월 이후 77개월 연속 소폭의 상승세를 이어갔다. 전국 17개 시·도의 땅값이 모두 올랐다. 제주(1.24%)가 가장 크게 상승했고 세종(1.23%) 부산(1.14%) 순서였다.
세종=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그래픽=박동민 기자
제주·부산·서울 집값 급등, 경북·대구·충남은 떨어져
입력 2017-04-28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