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사드 강행 안돼” 안철수 “절차 문제” 홍준표·유승민 “잘된 결정” 심상정 “주권 짓밟아”

입력 2017-04-27 05:01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발사대가 26일 포문을 하늘로 향한 채 경북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 성주골프장 부지에 배치돼 있다. 한·미 당국은 이날 새벽 X-밴드 레이더와 차량형 발사대, 요격미사일 등 사드 핵심 장비를 골프장으로 전격 반입했다. 매일신문 제공

대선을 13일 남겨놓은 정치권에 사드(THAAD) 논쟁이 다시 불붙었다. 각 당 대선 후보들은 26일 새벽 이뤄진 한·미 당국의 사드 장비 배치를 놓고 뚜렷한 시각차를 드러냈다. 북한 핵·미사일 위협과 맞물려 안보 이슈가 한층 힘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경기도 포천 승진과학화훈련장에서 열린 한·미 연합군의 통합화력격멸훈련을 참관한 뒤 기자들과 만나 “대선을 앞두고 지금 정부에서 무리하게 강행할 일은 아니다”고 밝혔다. 문 후보는 외교자문단을 통해 추궈훙(邱國洪) 주한 중국대사에게 “사드 배치 여부는 주권적 사항으로 우리 안보와 국익을 우선 고려하고 관련국들과의 협의를 통해 신중히 검토하고자 한다”며 “중국 정부가 취하고 있는 보복 조치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우리 국민의 자결권을 원천 봉쇄하고 주권을 짓밟은 폭거”라고 비판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사드 배치는 한·미 간 합의에 의해 이행돼야 한다”면서도 “환경영향평가 같은 절차를 생략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보수 진영 후보들은 “잘된 결정”이라고 환영했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는 “잘됐다”며 “전술핵도 들어오면 우리 안보는 튼튼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는 “이제는 정치권이 사드 배치에 대해 제발 한목소리를 내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지역·이념 대결 양상이 덜한 이번 대선에서 안보 위기론이 다른 이슈를 압도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가상준 단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보수 정당은 후보들의 대북관과 안보관을 검증집요하게 물고 늘어지고, 야권은 이를 방어하는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권지혜 백상진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