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사진) 한국은행 총재가 국내총생산(GDP) 지표에 ‘디지털경제’를 보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총재는 26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국제 소득 및 부 연구학회(IARIW)’와 공동 개최한 국제 콘퍼런스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통화기금(IMF), 미국 경제분석국(BEA) 등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이번 콘퍼런스는 ‘GDP를 넘어: 경제적 웰빙 측정의 경험과 향후 과제’라는 주제로 27일까지 열린다.
GDP는 한 나라의 국경선 안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하거나 움직여 만들어낸 부가가치 또는 최종 생산품을 가격으로 환산해 합친 액수다. 한 나라의 거시경제를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지표다. 한은은 중앙은행이자 국민계정 통계 작성 기관으로서 이를 담당한다.
이 총재는 GDP의 한계를 지적했다. 그는 “디지털경제나 공유경제같이 새로 등장하는 경제활동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며 “환경 훼손, 소득과 부의 분포, 국민 ‘삶의 질’ 변화 등을 보여주는 데도 한계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대안으로 먼저 디지털경제 반영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4차 산업혁명이란 신산업 대두와 관련해 기초 자료를 확충하고 측정 방법에 대한 연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또 “국민계정 통계가 일반 국민의 평균적 생활수준뿐만 아니라 그 분포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OECD를 중심으로 하는 국제적 분포 통계 작성 기준이 조만간 마련되길 바란다는 기원도 담았다. 그는 “별도 웰빙 지표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도 지속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
이주열 한은 총재 “GDP에 디지털 경제 반영해야”
입력 2017-04-26 1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