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와 고려대가 체육특기자도 공부하도록 만들겠다고 나섰다.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예인홀에서 김용학 연세대 총장과 염재호 고려대 총장이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2021학년도부터 체육특기자 선발에 최저학력 기준을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현재 중학교 3학년인 학생선수가 연세대나 고려대에 체육특기자로 입학하려면 학업도 병행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아직 구체적인 기준은 마련되지 않았다. 현재까지 합의된 최저학력 기준은 70% 선이다. 즉 100명 중 70등은 돼야 지원할 수 있다는 의미다. 학력기준은 두 대학 모두 논의 중이다. 내신 성적이나 수능이 기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학교생활기록부 반영 비율은 2020학년도 입시부터 높아진다. 연세대는 체육특기자 선발 전형에서 생활기록부 반영비율을 10%에서 20%로 확대한다. 현재 50%를 반영하고 있는 고려대는 반영 비율을 논의 중에 있다.
입학한 뒤에도 전공공부를 열심히 해야 한다. 직전 두 학기 평균학점이 2.0 미만이면 대회 출전을 할 수 없다. 체육특기자도 일반 학생처럼 학점 1.75 미만으로 학사경고가 3회 이상이면 퇴학 조치된다. 연세대는 출석인정 결석이 2분의 1을 넘지 못하도록 제한했다. 두 대학 모두 출석인정을 받으려면 담당과목 교수, 지도교수, 교내 체육위원회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염 총장은 “생계 수단이 아닌 즐기기 위한 체육, 즉 아마추어리즘의 방향으로 대학 체육이 나아가야 한다는 데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9일 교육부는 체육특기자 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중·고등학교 학생 선수가 최저학력 미달이면 전국대회 참가를 제한하고 대학생도 수업일수의 2분의 1까지만 출석인정을 허용토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다른 대학도 비슷한 조치를 준비하고 있다. 성균관대 관계자는 “교육부가 개선안을 발표한 뒤로 체육특기자 입시와 학사관리 방안에 대해 내부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양대 측도 “구체적으로 확정된 것은 없지만 체육특기자 입시 및 학사관리와 관련해 어떻게 변화를 줄지 검토 중인 단계”라고 전했다.
논란의 중심에 있었던 이화여대는 체육특기자 전형을 대폭 축소하거나 단계적으로 폐지해 나갈 예정이다. 이화여대 관계자는 “2018학년도까지만 현행대로 선발하고 이후로는 어떻게든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
연·고대, 체육특기자 선발 최저학력기준 적용
입력 2017-04-26 18:26 수정 2017-04-26 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