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위기] 대선 후보들, 외교·안보 강조

입력 2017-04-26 18:14 수정 2017-04-27 00:49
19대 대통령 선거 후보들은 26일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성주 배치, 북핵 해법 논란 등으로 불거진 외교·안보 변수 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국방·안보 분야 1000명의 지지 선언을 이끌어내며 “민주당이 안보 최고당”이라고 주장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한반도 안보 위기의 책임론을 제기하며 정권 실세였던 경쟁 주자들을 비판했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는 안보 이슈를 대선 최대 쟁점으로 부각하며 지지층 결집을 노렸다.

문 후보는 오전 국회에서 ‘천군만마 국방안보 1000인’ 지지선언 기자회견에 참석했다. 전직 군 장성, 경찰, 국가정보원, 병장전우회, 민간 안보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국방안보특보단이다. 문 후보는 “창당 이래 이렇게 많은 안보 전문가가 지지를 선언한 건 처음”이라며 “진짜 안보 세력이 저 문재인과 민주당”이라고 했다. 또 2회 방송연설을 통해 “북한은 핵과 미사일을 고집하다 고립과 궤멸의 길로 갈지, 핵을 포기하고 평화와 번영의 길로 갈지 선택해야 한다. 한·미동맹을 공고히 하고 한·중 관계를 복원·발전시키겠다”고 했다. 찬조연설에 나선 조국 교수도 ‘안보’ 안정감을 강조했다.

문 후보 측은 주요 여론조사에서 문 후보가 경쟁자인 안 후보 등에 비해 안보 이슈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고 판단, 선거 막판까지 적극적인 안보 행보를 펴겠다는 구상도 하고 있다. 북한 도발을 가정한 대응 시나리오도 준비한 것으로 전해졌다.

안 후보는 문 후보와 다른 보수 후보들을 함께 비판하고 나섰다. 그는 강원도 춘천 명동거리 유세에서 “문재인, 홍준표, 유승민 후보는 전임 정권 실세였고 집권당이나 정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분”이라며 “안보위기, 외교 불안이 대한민국을 엄습하고 있는데, 책임 있는 위치에 있던 분들이 반성부터 해야 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국민의당은 다만 사드 장비 반입에 대해선 “환경영향평가도 실시하기 전 한밤중 기습 배치한 데 대해 유감을 표한다”며 절차상의 문제만 지적했다. 사드 배치에 부정적인 진보 중도층을 자극하지 않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보수 후보들은 안보 이슈 전면 대응에 나섰다. 한국당과 바른정당은 문 후보의 대북관, 대미 외교·안보관을 지적하는 논평을 잇달아 내며 십자포화를 쏟아냈다. 전날 TV토론회에서 ‘오로지 미국 주장을 추종만 하니 미국이 우리와 협의할 필요조차 느끼지 못하는 것’이라고 했던 문 후보 발언이 주요 표적이 됐다. 한국당은 “한·미동맹을 흔들 수 있는 위험한 발언”이라고 비난했다. 홍 후보는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특별간담회에서 “미국의 대북 선제타격을 가정할 때 좌파 정부가 들어오면 한국과 협력이 안 된다고 본다”고 했다. 27일엔 사드 배치 예정지인 경북 성주도 방문할 계획이다. 바른정당 소속 김영우 국방위원장은 안보 유세를 위해 부산 유엔기념공원에서 국립서울현충원까지 ‘안보·국론 통합을 위한 희망페달’ 자전거 국토 대장정을 시작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