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 연구진이 지구와 비슷한 질량을 가진 외계 행성을 새로 찾아냈다. 다만 생명체 존재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칠레 남아프리카공화국 호주 등에 설치된 망원경으로 구성된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을 이용해 지구로부터 약 1만3000광년 떨어진 우주 공간에서 지구 질량의 외계 행성(OGLE-2016-BLG-1195Lb)을 발견했다고 26일 밝혔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스피처 우주망원경 관측을 통해 이 행성까지의 거리와 질량을 정밀하게 알아냈다.
외계 행성은 태양계 밖 우주에 있는 다른 별(항성) 주위를 도는 행성이다. 이번에 발견된 외계 행성은 지구 질량의 1.43배 수준으로 파악됐다. 중심별은 태양 질량의 7.8%밖에 되지 않는 작고 차가운 별이며, 외계 행성은 이로부터 1.16AU(약 1억7000만㎞) 떨어진 곳에서 공전하고 있다.
중심별은 태양보다 차가워 행성의 표면 온도 역시 영하 200도 이하로 파악됐다. 때문에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낮은 얼음덩어리 행성으로 분석된다.
지난 2월 말에는 지구에서 39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왜성(dwarf star) 트라피스트-1 주변에서 지구와 질량이 유사한 행성이 7개나 발견돼 주목을 끌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저널 레터’에 발표됐다.
글=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
지구와 비슷한 질량 외계행성 발견… 천문硏, 생명체 존재 가능성은 희박
입력 2017-04-26 1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