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복지 사각 메우는 기업의 나눔 활동

입력 2017-04-26 20:04

대한상공회의소는 올해 3대 사회 이슈로 ‘사회 역동성 저하’ ‘갈등조정비용 증가’와 함께 ‘사회안전망 부족’을 꼽았다. 사회안전망은 복지라는 말로 치환될 수 있다. 직장을 잃더라도 최소한의 삶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고, 부모의 부와 상관없이 동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어야 사회가 건강하게 지속할 수 있다. 정형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저소득층도 안정적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춤으로써 사회적 정의가 실현되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제 성장으로 부의 총량은 증가했지만 이를 골고루 나누는 부의 재분배 문제는 여전히 우리 사회의 숙제로 남아 있다. 아직 복지의 사각지대가 많다는 얘기다. 2014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복지지출 비중은 9.7%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회원국 평균인 21.1%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GDP 대비 복지지출 비중은 1990년 2.7%에서 24년 만에 7.0% 포인트가 오르며 빠르게 증가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선진국에 비해서는 부족하다.

대선 후보들도 경쟁적으로 복지 공약을 쏟아내고 있다. 아동수당 지급, 65세 이상에 기초연금 지급액 상향 등은 후보를 막론하고 공통적으로 내걸고 있는 약속이다. 복지가 중요하다는 데는 정치색과 상관없이 공감한다는 의미다.

국가의 복지 시스템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기업의 나눔 활동은 사회안전망 구축에 큰 힘이 된다. 국가 단위의 복지는 국민적 동의를 구해야 하고 어느 선까지 보편적으로 제공할지에 대해서도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반면 기업은 보다 기민하게 나눔 활동에 나설 수 있다. 주변에 도움이 필요한 이웃을 인지하면 바로 의사결정을 하고 행동에 나설 수 있기 때문이다. 민·관협력이 절실한 이유다.

기업의 나눔 활동은 사회 전체의 선순환 구조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복지 혜택을 받는 사람이 늘어나면 사회는 그만큼 안정된다. 또 다양한 경로를 통해 교육 기회를 제공받은 사람이 늘어날수록 기업은 양질의 인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단순히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을 사회에 나눈다는 개념이 아니라 기업과 사회가 함께 성장하는 것이다.

우리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나눔 활동의 범위도 확대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아동부터 노인까지 계층별로, 도시에서 농어촌까지 다양한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또 해외 사업장에서도 각 나라별로 필요한 나눔 활동에 나서면서 기업 이미지뿐만 아니라 한국의 국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도 기여하고 있다.

글=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그래픽=전진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