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년간 국내 주요 항만지역의 외래식물 비율이 12%포인트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돼 외래식물 기능과 생태계 영향 평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외래식물 유입과 확산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2008년부터 부산, 인천, 군산 등 주요 항만 도시 3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식생에서 외래식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2010년 36.3%에서 2016년 48.6%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2013년에는 이 비율이 42.3%였다. 새로 확인된 외래식물은 갈퀴지치, 미국풀솜나물, 마크로카르파달맞이, 처진미꾸리광이, 왕도깨비바늘, 개쇠치기풀 등 8종이다.
항구지역에서 외래식물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국제 무역의 꾸준한 증가와 도로·철도·제방 건설 등으로 개방된 나지가 번식하기에 좋은 장소를 제공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다.
이번 연구를 주관한 정수영 연구사는 “외래식물 증가가 반드시 자생식물을 사라지게 만들거나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부정적인 결과를 낳는 것은 아니다”며 “자생식물과 왜래종의 상호 식생 관계 등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연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포천=김연균 기자
ykkim@kmib.co.kr
“항만지역 외래식물 6년간 12%P 증가”
입력 2017-04-24 2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