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미국 간 칼빈슨호를 둘러싼 엄포전이 이어지고 북한과 중국 사이에도 팽팽한 긴장이 계속되는 등 한반도 전역에 위기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국내 일부 외국인학교가 ‘전시 대책’을 마련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한미군도 오는 6월 미군 가족과 국내 거주 미국 민간인 대피 연습인 ‘커레이저스 채널(Courageous Channel)’ 훈련을 예정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주한 외국인 사이에서 불안심리가 확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4일 부산시교육청과 학부모 등에 따르면 기장군의 부산국제외국인학교는 최근 500여명의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북한 핵·미사일 상황에 대한 대응 커뮤니케이션’이라는 내용의 이메일을 보냈다.
이메일에는 ‘일과시간 이후 대사관에서 자국민 대피 요청이 있을 경우 문자·이메일·홈페이지 등을 통해 임시휴교를 통보하고 학생들은 등교하지 않는다’는 내용과 ‘일과시간 급박한 상황이 발생하거나 학교버스가 군용으로 투입될 경우 학부모들이 학교로 와서 학생들을 귀가시킨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하교가 어렵거나 안전하지 않을 경우 학생들은 정해진 대피장소로 옮겨 물과 먹을 것을 제공받는다’는 내용과 ‘예상치 못한 상황 발생 시 상황과 대책 방안을 학부모들에게 알린다’ 등의 내용도 포함됐다. 비상상황에 대비해 단계별로 학교와 학생, 학부모 등의 대응 방향을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이 학교는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 당시에도 이 같은 대응지침을 이메일로 통보했었다.
해운대구 부산외국인학교는 비상상황 발생 시 각국 대사관의 행동요령에 따르도록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서면으로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수영구 일본인학교는 최근 일본 외무성에서 발송한 ‘한반도 정세주의 요청’ 이메일을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주지하도록 했다.
경기도의 한 외국인학교에서도 안내문을 발송한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이 학교 측은 안내문 내용을 보내달라는 교육부 요청을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국내 각급 학교는 특별한 지침이 없다. 교육부나 각 지역 교육청이 별다른 주의사항을 전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부산교대 황홍섭(사회학과) 교수는 “지나치게 호들갑을 떨 필요는 없지만 기본적인 대응책은 있어야 하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세종=이도경 기자 bhyoon@kmib.co.kr
부산 외국인학교 ‘전시 대책’ 마련, 학생·학부모에 이메일·서면 통보
입력 2017-04-24 17:42 수정 2017-04-24 2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