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포격 도발을 하면 도발 원점과 궤적을 탐지·추적하는 대포병 탐지레이더가 국내 기술로 개발됐다. 방위사업청은 24일 “탐지거리가 향상된 대포병 탐지레이더-II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며 “내년부터 전력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포병 탐지레이더-II는 최근 실시된 개발시험 평가와 운용시험 평가 전 항목에서 군 요구 기준을 모두 충족해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았다. 2011년 11월 개발이 시작돼 5년5개월 만에 결실을 봤다. 540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대포병 탐지레이더-II는 수도권을 위협하는 북한 장사정포를 무력화하는 대화력전 수행 체계의 핵심 장비다. 북한은 평양∼원산선 이남 지역에 170㎜ 자주포와 240㎜ 방사포를 배치, 수도권 지역 기습·대량 공격 태세를 갖추고 있다. 북한은 최근 신형 300㎜ 방사포 10여문도 실전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군은 그간 스웨덴 사브사가 개발한 대포병 탐지레이더 ‘아서(ARTHUR)-K’를 도입, 운용해 왔다. 방사청은 “대포병 탐지레이더-II는 아서-K보다 탐지 범위와 작전 지속 능력이 30∼40%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탐지거리는 60㎞로 아서-K보다 20㎞ 늘었다. 연속운용 시간은 8시간으로 아서-K보다 2시간 길어졌다. 유사시 최대 18시간까지 연속운용이 가능하다.
동시 표적처리 능력도 배가량 향상됐다. 여러 개의 북한군 도발 원점 정보를 포병부대에 실시간 전송할 수 있어 한꺼번에 즉각적인 대응사격이 가능하다. 국산화율은 95%에 달해 고장 시 신속하고 원활한 군수지원이 가능하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hschoi@kmib.co.kr, 그래픽=박동민 기자
北 포격 시 원점과 궤적 탐지·추적 ‘대포병 레이더-Ⅱ’ 국내기술로 개발
입력 2017-04-25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