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보 TV 토론] 이번에도… ‘안보관’ 날선 공방

입력 2017-04-24 00:25 수정 2017-04-24 00:32
5당 대선 후보들은 23일 중앙선관위 TV토론에서 2007년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기권 문제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대책 등 안보 이슈를 놓고 날선 공방전을 벌였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북한인권결의안 기권 문제와 관련해 집중 공격을 받았다.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는 “사전에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에게 표결 결과를 물어봤는지 다시 한 번 묻는다”며 “문 후보가 4번이나 말을 바꿨다”고 비판했다. 지난 2월 이후 “국가정보원 통해 확인했다” “국정원 통해 물어본 게 사실이 아니다” “휴민트(내부 정보원)나 정보망을 통해 상황을 진단했다” 등으로 말이 바뀌었다는 것이다.

유 후보는 또 “10년 전 일이었다지만 북한 인권 같은 중요한 문제에 대해 문 후보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면 후보 자격이 없다”고 몰아세웠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도 문 후보를 향해 “지도자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는 거짓말을 안 하는 것”이라고 가세했다. 그러자 문 후보는 “제대로 확인해 보기 바란다. 여러 번 말했다시피 사실이 아니다”며 “11월 16일 대통령 주재회의에서 기권으로 결론을 내렸다”고 반박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미래를 향한 토론이 돼야지 언제까지 편 가르기를 할 거냐”며 문 후보, 홍 후보, 유 후보를 싸잡아 비판했다.

5당 후보들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대책과 관련해 한국 정부의 주도적 역할론을 강조했지만 세부 방안에서는 온도차를 보였다. 문 후보는 6자회담과 같은 다자외교에 무게를 실었다. 문 후보는 “과거 우리는 북핵의 완전한 폐기와 관련해 포괄적 해결 방안인 다자외교로 합의했다”며 “그렇게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는 ‘진짜 안보’가 필요하다. 안보팔이 장사나 색깔론은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도 “미국과 중국, 주변국 사이에서 적극적인 중재자 역할을 할 것”이라며 “비핵화를 궁극적 목표로 삼고, 북핵 동결을 당면 목표로 해 평화적 해결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안 후보와 유 후보는 한·미동맹을 강조했다. 안 후보는 “우리의 주도적 역할과 국제공조 두 가지가 중요하다”며 “대통령이 되면 미국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한·미동맹을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유 후보도 “굳건한 한·미동맹 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략을 논의하겠다”고 강조했다. 홍 후보는 “미국의 전술핵을 들여오겠다”며 “남북 간 핵 균형을 이뤄서 북한의 핵도발을 억제하겠다”고 말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