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측이 2007년 11월 19일 국가정보원이 북한에 보낸 전통문의 주요 내용을 공개했다. 다만 전통문 원본이 아닌 전통문 내용을 옮겨 적은 자료 형태로 공개했다.
김경수 선대위 대변인은 23일 브리핑에서 “국정원이 원문을 보관하고 있을 것으로 보이고, 19일에 북한에 통지했다는 사실은 김만복 당시 원장 등을 통해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문 후보 측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당시 북에 보낸 전통문은 유엔 북한인권결의안이 상정된 과정과 인권결의안 내용을 완화시키기 위해 당시 외교부가 노력했다는 점, 그리고 ‘10·4 남북정상회담’ 관련 내용을 인권결의안에 포함시키는 데 외교부가 역할을 했다는 점 등을 설명하는 것이 골자다.
문 후보 측은 “‘우리가 어떤 입장을 취하든지 간에 10·4 남북정상회담을 비롯한 남북 간 합의사항을 적극 실천해 나간다는 우리의 의지는 분명하며, 남북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전통문에 담아 북한에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날 공개된 전통문 내용은 그해 11월 18일 회의에 참석했던 박선원 당시 안보전략비서관이 윤병세 당시 외교안보수석(현 외교부 장관)이 읽은 ‘전통문 초안’과 논의 과정을 기록한 메모에 근거한 것이다.
홍익표 선대위 수석대변인은 “전통문은 당시 윤 수석 등 ‘외교라인’이 만든 것”이라며 “박 전 비서관의 메모와 김만복 전 국정원장, 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 백종천 전 청와대 안보실장 등 당시 참석자들의 기억을 종합해 전통문 내용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국가기록물이므로 우리는 원본을 갖고 있을 수 없다”며 “당시 국정원이 자체적으로 전통문을 수정하지 않았다면 오늘 발표된 내용대로 북한에 전달됐을 것”이라고 했다.
문 후보 측이 전통문 공개를 결정한 것은 송민순 전 외교부 장관이 2007년 싱가포르에서 받은 북한의 입장문이라며 지난 21일 공개한 청와대 문건으로 북풍 논란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송 전 장관은 이를 근거로 당시 우리 입장을 단순히 통보한 것이 아니라 북한의 입장을 물어본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문재인측, 19일 대북 전통문(2007년 11월) 내용도 공개
입력 2017-04-23 18:03 수정 2017-04-23 2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