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노무현정부의 2007년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기권 논란에 중도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보수정당과 합세해 적극적인 공격에 나서지도 않고, 그렇다고 문재인 후보를 편드는 것도 아닌 조금 애매한 스탠스다.
안 후보가 집중 거론하는 대목은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었던 문 후보의 정직성이다. 보수정당의 특검, 국정조사 요구 등과는 거리가 있다. 자칫 이념 공방에 휩쓸렸다가는 진보와 보수, 양쪽의 지지층을 모두 잃을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안 후보는 23일 서울 광화문 유세에서 “왜 진보는 안보에 대해 신뢰를 주지 못합니까. 왜 북한에 쩔쩔 맵니까”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도 북한인권결의안 기권 논란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다. 안 후보는 지난 21일 “이 문제는 지도자의 정직성에 대한 부분”이라며 문 후보의 직접 해명을 촉구한 후 직접적인 공격을 자제하고 있다.
안 후보는 보수와 중도층 지지를 모두 얻어야 하는 상황이다. 안 후보가 “정의로운 나라를 만드는데 진보와 보수가 무엇이 다르냐”며 진영 논리를 벗어난 ‘통합 메시지’에 집중하는 이유다. 국민의당 핵심 관계자는 “안 후보는 북한인권결의안 문제에 대해 보수정당 후보들처럼 마냥 공격할 수는 없는 입장”이라며 “이번 논란으로 ‘보혁 대결’ 프레임이 굳어지면 안 후보에게 도움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다만 안 후보는 ‘북한은 주적(主敵)’이라고 거듭 강조하는 등 대북·안보관에 대해선 문 후보와의 차별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사드 배치 반대 당론을 변경하는 작업도 진행 중이다. 국민의당 원내지도부가 최근 서면으로 의견을 물은 결과 전체 의원 39명 중 34명이 당론 변경에 찬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공격도… 편 드는 것도 아닌… 애매한 안철수
입력 2017-04-23 17:56 수정 2017-04-23 2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