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위기론을 부추겨온 일본 정부가 이번에는 한반도 유사시 한국에 체류 중인 일본인을 대피시킬 구체적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고 마이니치신문이 21일 보도했다. 특히 우리 정부의 동의를 전제하긴 했지만 일본인 수송을 위해 자위대 항공기 파견도 검토키로 해 논란이 예상된다.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미군의 선제공격이나 북한의 반격 등으로 한반도에서 무력 충돌이 발생할 경우 재한 일본인들을 대피시키기로 하고 구체적인 대피 방안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현재 한국에 있는 일본인은 3개월 이상 중장기 체류자가 3만8000명, 여행이나 출장 목적의 단기 체류자가 1만9000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일단 군사 충돌이 발생하면 이들 일본인을 한국 정부가 지정한 시설에 대피토록 안내하기로 했다. 일단 72시간 동안 대피해 있게 한 뒤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항공기를 이용해 일본으로 귀국시킨다는 계획이다.
한반도 탈출에 이용될 항공편은 민간 정기 항공편과 긴급 편성한 민간 전세기뿐 아니라 한국 정부가 동의해준다면 항공자위대 소속 군용기까지 활용키로 했다. 아울러 수도권 공항이 위험에 노출될 경우 육로를 이용해 남쪽으로 이동시킨 뒤 선박으로 일본 규슈나 주고쿠 지방으로 이동시킨다는 구체적인 피난 계획까지 세웠다.
일본 정부는 보다 확정적인 대피 시점과 방법은 한국에 있는 20만명 정도의 미국인 대피 여부와 미군의 반격 상황 등을 감안해 정하기로 했다. 또 일본인들의 위험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군이 군사행동에 나설 경우 사전에 일본과 협의하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이런 가운데 일본 여당 내에선 한 술 더 떠 “적(북한) 기지 공격을 위해 자위대가 사이버 공격 능력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왔고,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한반도 정세를 이유로 러시아 및 유럽 순방 일정과 동선을 단축키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일본 석간신문 후지는 21일 한반도 주변 해역에 관련국 잠수함 50척이 집결했다는 보도를 내놨다. 신문은 이들 잠수함이 한반도 근해에서 서로 견제하고 있다는 확인되지 않은 소식을 전해 일부 일본 매체들도 한반도 위기론 부채질에 가세한 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
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
日, 한국 체류 일본인 유사시 대피 방안 검토 착수
입력 2017-04-22 0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