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부지 사용권 주한미군에 이양

입력 2017-04-20 21:55
한·미 양국이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배치 부지 공여절차를 20일 마무리했다. 사드 부지 사용권이 주한미군으로 넘어감에 따라 사드 배치 작업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국방부는 20일 “정부는 사드 배치를 위해 경북 성주군 소재 약 30만㎡ 부지를 주한미군에 공여했다”고 밝혔다. 앞서 외교부는 사드 부지 공여를 위한 주둔군지위협정(SOFA) 절차가 완료됐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환경영향평가가 끝나는 대로 부지 기반시설 조성공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미군의 기지 설계 이전 환경평가가 마무리단계”라며 “미군의 설계에 따른 환경평가가 남아있다”고 말했다. 환경영향평가는 국방부가 지난해 12월 용역업체를 선정한 뒤 관련 작업을 해와 신속하게 끝날 가능성이 높다. 사드 부지는 33만㎡ 이하 소규모 환경평가 대상이어서 이르면 30일 이내에 마무리될 수도 있다. 환경영향평가가 끝나면 미군 설계에 따라 시설·기반공사가 진행되고 이어 사드 포대가 이동한다.

다만 사드 관련 장비 반입은 5월에야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작전 운용 시기 역시 당초 계획보다 늦어질 가능성이 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최근 “조속한 사드 배치 방침에는 변화가 없다”면서도 “(사드 배치가) 단기간 마무리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3월 미국 텍사스 포트블리스에서 수송기편으로 한국에 도착한 사드 요격미사일 발사대 2기는 성주와 가까운 경북 왜관 미군기지에서 대기 중이다. 사드 포대는 레이더와 요격미사일, 차량형 교전통제소, 발전기, 냉각기 등으로 구성된다. 1개 포대는 기본적으로 6기의 발사대가 배치되지만 성주에 몇 기의 발사대가 배치될 것인지는 정확히 확인되지 않았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