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윤학수 건설교통신기술협회장 “4차 산업혁명엔 건설 신기술 더 키워야”

입력 2017-04-20 21:03
윤학수 한국건설교통신기술협회장이 19일 서울 송파구 협회 사무실에서 국민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윤 회장은 “4차 산업혁명을 앞두고 새로운 기술 개발과 활용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김지훈 기자

윤학수 한국건설교통신기술협회장(60)의 손은 거칠었다. 그는 햇빛에 검게 그을린 피부를 보며 “건설 현장에 자주 나가서 어쩔 수 없다”고 웃었다. 지난 24년간 토목엔지니어링 전문기업인 장평건설을 경영해온 그는 2015년 건설교통신기술협회장으로 취임했다. 지난 19일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협회 사무실에서 만난 윤 회장은 “4차 산업혁명을 앞두고 새로운 기술 개발과 활용이 절실하다”며 “마음이 조급하다”고 했다.

건설 신(新)기술 제도를 아는 이는 많지 않다. 정부는 건설기술 발전을 위해 1989년 신기술 제도를 도입했다.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한 기술 또는 외국에서 도입·개량한 기술로서 보급·활용 필요성이 인정되는 기술을 발굴해 지원하기 위해서다. 방수·교량제작·창호·포장 기술 등 모든 건설 분야를 망라한다. 등록된 신기술을 제3자가 활용할 경우 개발자에게 기술사용료를 지급하도록 법에 규정돼 있다.

아이디어만 있어도 신청할 수 있는 특허와 달리 신기술은 공법 자체를 개발해야 한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에서 파견된 10여명의 심사를 통과하면 국토교통부가 신기술로 최종 선정한다. 현장 심사 등이 까다롭다 보니 28년간 인증을 받은 신기술은 813건에 불과하다. 윤 회장은 “2015년 토목 관련 특허는 4957개가 등록됐지만 건설 신기술은 26건 인증에 그쳤다”며 “그만큼 확실하고 뛰어난 기술만 신기술 마크를 달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신기술은 최근 문을 연 롯데월드타워 등 국내 유수의 건물과 빌딩 등에 총 4만4000여번 활용됐다. 기술 가치로 따지면 9조원이 넘는다. 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신기술을 사용할 경우 기존 기술을 쓸 때보다 공사기간은 45% 단축되고 안전성은 42% 향상되는 한편 공사비도 31%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고민도 있다. 건설 신기술 1개를 개발하려면 평균 2.7년이 걸리고 6억2000만원의 비용이 든다. 국토부 심사에는 세금이 투입된다. 철저한 검증을 거치지만 막상 인증을 받더라도 각 기업이 이를 활용하는 경우는 2010년 2488건에서 2015년 1720건으로 계속 줄어드는 추세다. 낯설다는 이유로 훌륭한 기술을 외면하는 것이다. 윤 회장은 “한 번도 안 써본 기술이라며 외면하는 발주자가 많다”며 “변화를 외면하니 일본 등에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윤 회장은 4차 산업혁명을 맞아 건설 신기술을 더욱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로봇이 건물에 페인트칠을 하는 기술도 신기술 인증을 받았다”며 “우리만의 기술을 키울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하다”고 했다. 신기술을 적극 활용한 발주자에게 포상과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의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윤 회장은 “3D 프린터와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과 결합한 신기술이 한국 건설산업을 한 단계 도약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글=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