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들이 민선 6기 이후 추진 중인 도시재생 사업이 겉돌고 있다. 주거환경을 개선하거나 상권을 활성화하는 초보적 수준에 그쳐 도시의 전통과 개성을 살린 다양한 도시재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0일 각 지자체와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대다수 도시에서 원도심 쇠퇴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인구감소 현상이 농촌뿐 아니라 도시 중심부로까지 확대되면서 슬럼화가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등 도심이 활력을 잃고 있는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전국 144곳의 시·군·구 중 66%인 96곳이 최근 5년간 평균인구 성장률과 총사업체 수가 감소하는 등 뚜렷한 쇠퇴징후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주택·상가의 대량 공급을 동반한 신도시 개발은 주춤하다. 반면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철거한 뒤 새 주거단지를 공급하는 재개발·재건축 위주의 단순한 도시재생은 붐을 이루고 있다. 과거 봉제·의류 공장이 밀집됐던 서울 구로공단이 IT 벤처기업의 산실인 ‘구로디지털단지’로 바뀐 것처럼 도시 고유의 정체성을 담은 도시재생이 아쉽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광주광역시와 동구는 지난 2005년 말 전남도청의 무안 남악신도시 이전을 기점으로 번화가인 충장로·금남로에서 빈 점포가 속출하자 수년전부터 도시재생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시와 동구, 상인회, 문화단체 등 21개 유관기관이 옛 도청 자리에 들어선 문화전당 주변과 충장로·금남로의 보행환경·도시미관 개선사업 등에 수년간 공을 들였다.
향후 200억원을 들여 충장미디어산업센터·궁동두레예술마당·푸른마을공동체센터 등도 짓기로 했다. 하지만 상권이 극도로 침체된 원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당초 기대만큼의 파급효과는 아직 거두지 못하고 있다.
전남 순천시 역시 중앙동 등의 인구가 20%이상 줄자 2014년부터 연간 600만 명에 달하는 순천만 관광객을 원도심으로 끌어들여 상권을 부활시키기 위한 도시재생 사업을 벌이고 있다.
부산 사상구는 국비 1145억원 등 4400억원을 들여 1960∼1970년대 자생적으로 생겨나 노후화된 사상공단을 배후주거단지까지 갖춘 ‘사상스마트시티’로 육성하는 사업에 착수했다. 하지만 일부 지역 주민들과 마찰을 빚는 등 도시재생을 둘러싼 이견이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다.
목포대 최동현 교수는 “낡은 아파트나 공장을 허물고 새 건물만 무조건 짓고 보자는 물리적 도시재생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민·관이 머리를 맞대고 지역 정체성은 유지하면서 도시를 매력적으로 재생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전국종합
swjang@kmib.co.kr
줄잇는 도시재생사업, 전통·개성 못 살린다
입력 2017-04-20 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