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닭 등 가금류를 많이 기르거나 하천에 가까운 사육농가일수록 조류 인플루엔자(AI) 발병률이 높다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가 나왔다.
행정자치부 정부통합전산센터와 충남도는 도내 4958곳의 가금류 사육농가와 지난겨울 도내 AI 발생현황, 2400여곳의 하천·저수지 등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빅데이터 분석기법 중 하나인 의사결정나무 분석 결과 가금류 4000마리 미만 사육 농가는 4547곳 중 3곳(발병률 0.07%)에서 AI가 발생했다. 반면 4000∼10만 마리 미만 사육농가는 364곳 중 37곳(10.16%)이 발생해 발병률이 4000마리 미만 사육농가의 154배나 됐다. 10만 마리 이상 농가(47곳)는 17곳(36.17%)이 발생해 4000마리 미만 농가의 548배였다.
하천과의 거리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 2㎞ 밖에 위치한 농가(2952곳)의 발병률은 0.10%(3곳)였으나 0.2∼2㎞ 내 농가(1715곳)의 발병률은 2.51%(43곳)로 24.7배였다. 0.2㎞ 이내 농가는 291곳 중 11곳(3.78%)이 발생해 2㎞ 밖 농가의 37.2배였다. 저수지와의 거리는 발병률과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분석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6개 군집 중에서 AI 발병률이 특히 높은 2개 사육농가 군집은 사육 두수가 많고 하천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특성을 보였다.
김명희 정부통합전산센터장은 “이번 빅데이터 분석은 통합센터와 지자체가 협업해 AI 역학을 분석한 의미있는 사례”라며 “사육두수와 철새도래지인 하천과의 거리요인이 AI 발병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분석 결과는 앞으로 지자체 AI 예방에 활용된다. 충남도는 발병률이 높은 군집에 속하는 농가와 하천을 중점적으로 관리하고 6월 중 방역 담당자와 고위험군 농가를 대상으로 분석 결과를 교육할 방침이다. 또 철새도래지로부터 3㎞ 이내, 가금류 농장 500m 내 신규 사육업 허가를 제한하는 등 AI 방역 개선 대책을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전남도는 이날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 위기경보단계를 ‘심각’에서 ‘경계’ 단계로 하향조정했다. 최고 경보단계인 ‘심각’을 발령한지 124일 만이다. 지난달 29일 장흥군 오리농가를 끝으로 AI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아 위기경보단계를 조정했다고 도는 밝혔다.
라동철 선임기자,무안=김영균 기자 rdchul@kmib.co.kr
AI 발병률, 가금류 많거나 하천 가까운 곳 높았다
입력 2017-04-20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