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전국경제인연합회를 압박해 친정부 성향 보수단체에 거액의 자금을 대주고 각종 시위에 개입했다는 이른바 ‘화이트리스트’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청와대 정무수석실의 조직적 개입 정황을 일부 확인하고 막바지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부장검사 심우정)는 청와대 정무수석실 산하 국민소통비서관을 지낸 정관주 전 차관을 최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고 19일 밝혔다. 2014년 9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청와대 국민소통비서관으로 일한 정 전 차관은 문화예술인 지원배제명단 ‘블랙리스트’ 사건으로 구속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다. 검찰은 정 전 차관을 상대로 국민소통비서관 재직 중 전경련에 요구해 보수단체에 자금을 대주고 친정부 성향 집회 개최 등을 요구했는지 집중 추궁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청와대 정무수석실이 주도해 보수단체에 시위나 집회 등을 요구하고, 그 대가로 자금을 지원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여러 관계자들을 수사 대상에 올렸다. 지난 6일에는 보수단체를 지원하도록 전경련, 대기업 등을 직접 압박했다는 의혹을 받는 국민소통비서관실 허현준 선임행정관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의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추선희 대한민국어버이연합 사무총장과 주옥순 엄마부대 대표, 김모 자유총연맹 전 사무총장 등도 참고인 신분으로 검찰에 불려나와 전경련의 지원을 받게 된 배경과 뒷거래 존재 여부 등을 추궁 받았다.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블랙리스트를 파헤치는 과정에서 ‘화이트리스트’ 의혹도 함께 발견해 수사를 진행했다. 그러나 특검법에 명시된 수사 대상이 아니어서 수사 결과 일체를 검찰에 인계했다.
특검 수사결과에 따르면 청와대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전경련에 특정 보수단체를 지원하도록 요구했다. 전경련은 자체 자금과 삼성, LG, 현대차, SK 등 대기업에서 걷은 별도의 지원금을 더해 2014년 24억원(22개 단체), 2015년 35억원(31개 단체), 2016년 9억원(22개 단체) 등 총 68억원을 지원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관제데모 지원’ 靑 조직적 개입정황 확인
입력 2017-04-20 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