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채무재조정안이 99%에 이르는 찬성률로 이틀 동안 열린 사채권자 집회를 모두 통과했다. 신규 자금 2조9000억원은 다음 달 초쯤 지원될 전망이다.
이제 공은 대우조선으로 넘어왔다. 정부는 대우조선을 정상화한 뒤 내년 이후에 인수·합병(M&A)을 통해 조선산업을 ‘빅2(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체제’로 재편할 계획이다. 경영 정상화까지 험로가 예상된다.
대우조선 정성립 사장은 18일 사채권자 집회를 마친 뒤 “작지만 외풍에 흔들리지 않는 튼튼한 회사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이어 “신규 자금이 혈세라는 사실을 항상 기억하고 반드시 상환하겠다. 분골쇄신의 노력으로 정상화를 이뤄내겠다”고 강조했다.
강도 높은 인력 감축, 고부가가치 선박 중심으로의 사업 재편은 주요 과제다. 대우조선은 지난해 12월 기준 1만443명인 인력을 2018년 상반기까지 9000명 이하로 줄일 계획이다. 부실의 원인인 해양플랜트사업은 사실상 접는다. 대신 대형 LNG(액화천연가스)선, 고효율 메가컨테이너선 등 차세대 선박사업에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민간 회계·법률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경영 정상화 관리위원회’도 만든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도 위원회에 참여하지만 전문가들이 주축이다.
대우조선이 정상화에 성공하면 정부는 조선산업 전체를 대상으로 구조조정을 진행한다. 현재 ‘빅3(대우조선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체제’가 ‘빅2’로 바뀔 가능성이 높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이날 기자 브리핑에서 다른 조선사들이 대우조선을 인수할 가능성이 있는지 묻자 “여러 시나리오가 있을 수 있다. 2018년 이후 일이라 구체적 설명은 어렵다”고 답했다. 다만 조선·해운 분석 기관 클락슨이 2018년 연간 발주량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는 등 업황 회복이 예상보다 더딜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예상대로 정상화가 이뤄질지 미지수다.
한편 국민연금, 신협, 수협 등 기관투자가 11곳이 대우조선과 딜로이트안진 회계법인 등을 상대로 지난 14일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한 것으로 확인됐다. 분식회계를 감추고 회사채를 발행해 피해를 입혔으니 배상하라는 주장이다. 회사채 절반을 출자전환했지만 권리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글=나성원 기자 naa@kmib.co.kr, 그래픽=이석희 기자
구조조정 닻 올린 대우조선 해양플랜트 접는다
입력 2017-04-18 18:04 수정 2017-04-18 2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