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체 주변의 곰팡이로 사망 시기를 추정하고, 가짜 재료가 섞인 식품을 바코딩으로 적발하는 등의 다양한 법생물 유전자 분석 기법을 검찰이 공개했다. 생물자원 빅데이터를 과학수사에 활용하면 강력사건 해결과 국민 먹거리 보호에 도움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대검찰청 과학수사부(부장 김영대 검사장)는 17일 서울 서초구 국가디지털포렌식센터에서 제7회 한국법생물연구회를 열고 생물자원 빅데이터의 과학수사 활용 방안을 논의했다. 사체와 주변 토양에 부착된 곰팡이의 유전자(DNA) 정보를 분석, 사망시점은 물론 부패단계까지 추정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우선 제시됐다. 그동안은 부패단계 추정 기준이 파리 등 곤충 위주였는데 더욱 다양화된 것이다.
익사체가 처음으로 물에 빠진 지점과 유입경로를 추정할 수 있게 도와주는 해양생물 유전자 데이터베이스 구축·활용 기법도 소개됐다. 연구팀은 돼지를 그물망에 감싼 뒤 직접 바다에 빠뜨려 경과 시간을 각기 다르게 해 건져 올렸다. 연구팀은 이후 돼지를 해부해 내장기관과 피부 등에 부착된 해양생물의 군집을 분석,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었다.
이날 연구회에서는 수익 목적 가짜식품 혼합수법(EMA)을 적발하는 데 DNA 바코딩 기법이 쓰일 수 있다는 논의도 발표됐다. 식물의 엽록체 DNA 정보를 통째로 분석, 어떠한 성분이 섞였는지 가늠해 주는 마커가 개발됐다는 것이다. 이를 활용하면 인삼, 백수오 등 건강식품의 내용이 진짜인지 가짜인지 단속이 가능하다. 식품·천연의약품의 DNA 정보로 인육캡슐을 분석해낸 사례가 발표되기도 했다.
연구회에는 대검을 비롯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세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농림축산검역본부 등 총 16개 기관이 참석했다. 대검은 방대한 생물자원의 DNA 정보가 사건의 정황 증거를 이끌어낼 것이며 다양한 과학수사에 현실적인 도움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정·불량식품 근절을 위해 유관기관 간 상호자문 등의 협력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
곰팡이 보면 사망시각 보인다
입력 2017-04-17 1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