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회생 물꼬 튼 대우조선, 死卽生 각오로 정상화시켜야

입력 2017-04-17 17:32
대우조선해양이 사실상 회생의 발판을 마련했다. 대우조선의 회사채를 가장 많이 가진 국민연금공단이 정부의 채무재조정안을 전격 수용하면서 17일부터 시작된 사채권자 집회에서도 이 안이 무난히 통과되는 양상이다. 이에 따라 대우조선은 법정관리 위기를 모면하고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으로부터 신규 자금 2조9000억원을 지원받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대우조선으로서는 벼랑 끝에서 살아난 셈이 됐다. 마지막까지 망설였던 국민연금이 그나마 회사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채무재조정안에 찬성하면서 일단 큰 고비는 넘겼다.

그러나 앞으로 넘어야 할 산은 간단치 않다. 현재까지의 상황은 ‘가보지 않은 길’이라 우려했던 단기 법정관리 ‘P플랜’을 피할 수 있게 된 것일 뿐이다. 대우조선이 정상화되기까지 가장 걱정스러운 점은 세계 조선시장의 장기 불황이다. 최근 영국의 조선 해운 전문 분석 기관 클락슨리서치는 당초 2018년부터 살아날 것으로 전망했던 조선업의 회복이 예상보다 더딜 것이라고 관측했다. 신규 수주 경쟁이 더 치열해질 수밖에 없어 대우조선의 앞날이 그만큼 불투명하다는 얘기다.

외부 환경이 악화되는 만큼 내부의 자구 노력 중요성은 더 커졌다. 구조조정 강도는 한층 세져야 한다. 대우조선의 자구이행 계획안과 이행 결과는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에 비해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도덕적 해이가 만연했다는 것이다. 이런 식이라면 2018년까지 단행키로 한 총 5조3000억원 규모의 자구 노력이 제대로 이행될지 의문이다. 고질적인 고비용 구조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야 한다. 지난주 전 직원이 임금 10%를 반납한 점은 환영하지만 이 정도로 그쳐서는 안 된다. 사즉생(死卽生)의 각오로 스스로 희생해야 재기의 기회를 맞을 수 있다. 상선과 특수선 등 경쟁력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사업 구조를 효율화하는 등 사업 재편에도 박차를 가해야 한다.

대우조선 정성립 사장의 말처럼 ‘작지만 강한 회사’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외형 일변도의 경영 방식에서도 벗어나야 한다. 대우조선 임직원들은 뼈를 깎는 자구 노력과 과감한 경영 쇄신을 통해 반드시 회사를 연착륙시켜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