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역세권 청년주택’을 활용해 대학생 공공기숙사 공급에 나선다.
서울시는 16일 대학 밀집지역에 들어서는 역세권 청년주택 중 일부를 대학생 기숙사로 공급한다고 발표했다. 시는 “주거난으로 힘들어하는 타 지역 출신 대학생들에게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역세권에서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하고, 서울시내 가용택지 부족과 지역주민들의 반대 등으로 정체 중인 건설형 기숙사 공급의 어려움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서울 소재 대학 재학생 중 지방 출신 비율은 33%나 되지만 서울 소재 대학의 기숙사 수용률은 10.9%에 불과하다. 타 지역 출신 학생의 3분의 1 정도만 기숙사 수용이 가능한 실정인 것이다. 서울시는 마포구와 서대문구, 관악구 등 대학생 주거비율이 높은 지역의 역세권 청년주택을 우선적으로 대학생 기숙사로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시작된 서울시의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은 민관 협력을 통해 역세권을 개발해서 청년들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사업이다. 시가 역세권에 임대주택을 짓는 민간사업자에게 용적률, 규제완화 등 혜택을 주는 대신 건축된 물량 가운데 10%∼25%를 공공임대주택으로 확보해 청년들에게 주변 시세 대비 60∼80%로 공급한다.
현재 한강로2가와 충정로, 서교동 등에서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연내 청년들을 위한 임대주택 1만5000호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는 이 중 일부를 대학생 기숙사로 공급한다. 기숙사 내에는 주거공간 외에 공동세탁실, 공동주방 같은 공유공간과 친구 또는 가족이 방문했을 때 이용할 수 있는 게스트하우스 등이 설치될 예정이다. 또 스터디카페, 체력단련실, 창업지원공간 등 다양한 청년 커뮤니티 시설도 배치해 활동 플랫폼이 되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번 사업을 타 지방자치단체와 공동으로 추진한다. 5월 중으로 타 지자체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는 자기 지역 출신 학생들을 위해 역세권 청년주택 일부를 공공기숙사로 제공받는 대신, 기숙사 운영비 등을 부담하게 된다. 운영비 분담 규모, 향후 운영방안, 공공기숙사 공급 물량 등은 참여 지자체가 확정된 후 ‘공공기숙사 실무협의회’를 구성해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가 타 지자체와 협업으로 공공기숙사를 건립하는 사례는 이번이 두 번째다. 시는 지난 2014년 태안시와 순천시, 나주시 등 14개 지자체와 함께 ‘내발산동 공공기숙사’를 건립했으며, 현재 382명의 해당 지역 출신 대학생들이 지내고 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역세권 청년주택, 대학생 공공기숙사로 활용
입력 2017-04-17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