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대선의 공식 선거운동이 17일 시작됐다. 5월 8일 자정까지 22일간 진행된다. 국정농단 사건으로 현직 대통령이 파면되면서 성사된 이번 대선은 당초 예정됐던 12월보다 7개월 당겨졌다. 후보와 정당은 물론 국민에게도 통상의 대선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다음 대통령은 최악의 안보위기 속에서 정권인수기간도 없이 곧바로 취임하게 된다. 임기 첫날부터 대한민국 국정을 한 치의 차질 없이 운영할 수 있는, 고도의 수권 능력을 가진 후보가 유권자의 선택을 받아야 하는 이유다.
5·9 대선에는 역대 최다 후보가 몰렸다. 모두 15명의 후보가 등록해 4대와 17대 대선의 12명을 넘어섰다. 후보가 많아지면서 최적의 대통령감을 찾기 위한 선택도 더 지난해진 셈이다.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이번 대선의 특징과 의미를 되새긴다면 판단에 도움이 될 것이다.
무엇보다 1987년 직선제 이후 처음으로 특정 지역에서 몰표를, 다른 곳에서는 외면을 받는 반쪽짜리 대통령이 탄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여론조사에서 2강을 형성하고 있는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를 비롯해 영·호남에서 각기 절대적 지지를 받는 후보가 없다. 또 진보와 보수 간 이념적 대립 구도도 한층 옅어졌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보수여당이 사라지면서 당선 가능성이 높은 1, 2위가 진보 및 중도 성향의 야당 후보로 채워졌기 때문이다. 유권자 입장에서는 한국 정치의 고질병인 출신 지역과 이념에 얽매이지 않고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 것이다.
이에 호응하는 선택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 우선 후보가 내건 가치에 동의하는지 여부다. 후보들은 ‘통합’ ‘안보’ ‘개혁’ 등 자신만의 집권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을 토대로 후보의 실천 능력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안보 외에도 저출산, 고령화, 청년실업, 사회 양극화 등 우리를 둘러싼 상황은 극도로 암울하다. 역경을 돌파하고 국민들에게 꿈과 희망을 줄 수 있는 후보가 대통령이 돼야 하는 것이다.
아울러 ‘가짜’를 선별할 수 있는 유권자의 통찰력이 필요하다. 검증과 네거티브는 다르다. 상식에 입각한 합리적 의심이 드는 의혹 제기는 검증이 맞다. 상대 후보는 네거티브 공세라고 일축하겠지만 국민 시각에서는 대통령 결격에 해당하는 하자일 수 있다. 가짜는 가짜 뉴스를 통해 무차별 확산되는데 여기에 속지 않는 분별력이 있어야 바른 선택을 할 수 있다.
이번만큼은 후보 주변의 참모들과 지지 세력의 면면도 살펴야 한다. 비선실세는 없는지, 집권 후 대통령을 등에 업고 국정을 농단할 자는 없는지 등이다. 쉽지는 않겠지만 또다시 말도 되지 않는 이들에게 속지 않으려면 이 땅의 유권자가 해야 할 필수불가결한 노력이다.
[사설] 유권자의 선택 기준, 이전과 달라야 한다
입력 2017-04-16 17:31 수정 2017-04-16 2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