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평양 항공 노선 중단 中, 핵실험 대북압박 강화

입력 2017-04-14 18:17 수정 2017-04-15 00:50
중국 국영 항공사인 중국국제항공(에어차이나)이 주 3회 운항해 온 베이징∼평양 노선을 잠정 중단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이 잇따른 경고와 설득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태양절을 전후해 추가 도발 가능성이 큰 북한에 대한 압박 강도를 한층 높였다는 분석이 나온다.

14일 중국 CCTV에 따르면 2008년부터 매주 3회 정기 노선을 운항해 온 중국국제항공 베이징발 평양 노선은 17일부터 운항을 중단한다. 이날 마지막으로 운항을 마친 이 구간 항공편이 오후 6시 베이징에 도착했다. 항공사 관계자는 “그간 승객 부족으로 잦은 운항 취소를 거듭해 왔다”면서도 이번 중단 결정의 배경을 밝히지 않았다. 이번 조처로 평양행 노선을 운항하는 항공사는 북한 고려항공만 남게 됐다. 외교 소식통은 “지난 2월 중국의 북한산 석탄 수입 중단에 이은 것으로 북한에 대한 경고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번 조치는 중국 관영 언론이 북한이 6차 핵실험을 할 경우 원유 공급 제한을 경고하는 등 이례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것과 맥을 같이한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12일자 사설에서 “북한이 이달 중 또 다른 도발적 행동을 한다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이전에 보지 못한 수준의 가혹한 제재를 채택하는 걸 보게 될 것”이라며 “제재에는 대북 원유 수출 제한이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관영 언론이 대북 원유 공급을 언급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중국은 지난해 북한이 제5차 핵실험을 한 직후 대북 원유 공급을 중단해 달라는 버락 오바마 미 행정부의 강력한 요청을 뿌리쳤었다. 북한은 원유 수입의 90%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이 원유 공급을 제한하면 북한 경제는 마비될 가능성이 크다. 북한 경제가 무너지면 탈북자들이 중국 국경을 넘어 쏟아져 들어오는 상황을 중국은 염려하고 있다. 그럼에도 중국이 관영 언론 사설을 통해 원유 공급 제한을 시사한 것은 북한의 추가 핵실험 등 도발을 반드시 막아야 한다는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뜻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태도는 더욱 강경하다. 미국은 원유 공급을 아예 차단하고, 북한 국적 항공의 외국 항로를 금지하며, 북한 화물선 나포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로이터 통신은 “미국은 특히 중국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포기하도록 압력을 행사하지 않으면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 은행까지 제재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은 미국의 일방적 제재에 반대하는 입장이어서 제재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양국 간 갈등이 예상된다.

그러나 중국이 강도 높은 대북제재안을 만들더라도 얼마나 충실히 이행할지는 미지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이 북한 문제에 있어서 노력하고 있다”며 기대감을 보이지만 중국의 과거 행보를 보면 여전히 미덥지 않은 구석이 많다.

김미나 기자, 워싱턴=전석운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