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김용하] 푸른 숲은 경제자원이다

입력 2017-04-14 17:31

산림청이 올해로 개청 50주년을 맞았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산림 비율이 네 번째로 높은 국가다. 한국인의 가장 친근한 레저 활동이 등산인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일지 모른다. 그런데 오늘의 산림이 저절로 생겨난 게 아니다. 반세기 전만 해도 우리나라 산은 대부분 민둥산이었다.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숲이 사라지고 국토가 황폐해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시작된 게 산림녹화다. 먹고살기도 힘든 때 산림청은 국민 모두와 합심해 황폐한 산을 녹화하는 데 온 힘을 다했다. 어린아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나무 심는 일, 심은 나무를 잘 가꾸는 일에 적극 참여했다.

산에 불을 놓아 경작지를 만들던 화전민들도 정부 정책에 적극 동참해 산 밖으로 이주했다. 1967년부터 1997년까지 우리는 337만㏊에 약 88억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이런 노력으로 예전의 금수강산을 되찾게 됐다. 1967년 ㏊당 10㎥에 불과하던 임목 축적이 2015년 기준 146㎥으로 14배 이상 증가했다. 20세기 이후 산림녹화와 경제 성장을 동시에 달성한 세계 유일한 국가다. 특히 한국의 산림녹화 성공 사례는 세계적 모델로 평가받는다.

국토의 64%를 차지하는 산림은 우리의 소중한 자원이다. 변변한 자연자원이 없는 우리나라는 산림자원을 경제 발전과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잘 활용해야 한다. 선대가 이룬 푸른 숲을 후대가 누릴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하게 관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우리 산림을 경제자원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형·기후가 비슷한 오스트리아는 매년 우리보다 3배가 넘는 1800만㎥의 목재를 생산해 수출하고, 임목자원을 신재생에너지 자원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산림 경영에 필요한 임도 시설이 ㏊당 45m로 우리에 비해 15배나 높다. 우리도 경제림을 육성하고 임도 시설을 확충한다면 오스트리아처럼 목재산업과 신재생에너지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산림을 통해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에도 적극 대응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BAU(배출 전망치) 대비 37% 온실가스 감축’을 국제사회에 약속했다. 숲은 유엔이 인정하는 유일한 탄소 흡수원이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균형 잡힌 산림 관리가 중요한 때이다. 산림을 휴양·관광·교육·치유 자원으로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산림복지 서비스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앞으로 더 많은 국민이 숲을 통해 질 높은 산림복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관련 시설과 프로그램을 확충해야 한다. 또 산림이 갖고 있는 수원함양, 토사유출 방지, 공기질 정화 등의 공익적 가치가 증진될 수 있도록 산림을 잘 관리해야 한다. 2014년 기준 산림의 공익적 가치 평가액은 126조원으로 국민 1인당 249만원의 혜택을 받고 있다.

산림청은 앞으로의 100년을 내다보고 우리 산림이 임업과 목재산업 육성, 관련 일자리 창출, 국민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 기후변화 대응 등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그리고 녹화 성공 경험을 개도국과 공유하면서 산림정책의 새로운 비전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하겠다. 지난 반세기 국민과 같이 이룬 푸른 숲을 바탕으로 다가올 반세기에는 국민과 함께 우리 숲이 주는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김용하 산림청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