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의 신뢰도를 높이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선 신문·방송·통신 등 모든 미디어 및 콘텐츠 관련 정책을 하나의 정부조직에서 총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위원장 유성엽), 한국신문협회(회장 이병규) 주최로 12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미디어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정부조직 개편 방안’ 세미나에서 김동규 건국대 언론홍보대학원장은 “미디어 공공성 강화와 미디어의 산업적 발전이 조화를 이룰 구성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제안했다.
김 원장은 “미디어 산업 관련 기금과 재원을 확대해 디지털 전환 및 교육, 콘텐츠 생산, 미디어 리터러시 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또 “디지털 뉴스·콘텐츠 시장에서 포털 과점 문제가 심각하다”며 “포털업체가 정당하게 언론사에 저작권료를 내는 등 건전한 생태계 확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발제에 앞서 유성엽 국회 교문위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미디어 관련 정부조직은 기관별로 권한과 기능이 혼재돼 있어 정책 혼선이 크고 미디어 매체 간 균형발전마저 저해하고 있다”면서 “미디어 환경 변화에 걸맞은 정부 차원의 정책과 조직 개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국회 교문위 소속 김병욱 의원(더불어민주당)은 “미디어 정책을 종합적으로 기획하고 집행하도록 차기 정부는 현재 미래부, 방통위, 문체부로 분산된 미디어 관련 부처를 통합하는 방향으로 정부조직 개편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배병우 편집국부국장 bwbae@kmib.co.kr, 사진=이동희 기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 위해 미디어 관련 부처 하나로 통합해야”
입력 2017-04-12 2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