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1일 개최한 최고인민회의에서 외교위원회를 부활하면서 보다 적극적으로 대외관계 개선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강 대 강’ 대결 노선에서 벗어나 유화적인 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통일부는 12일 북한의 최고인민회의 외교위원회 신설에 대해 “대북압박 강화에 따른 국제적 고립에서 벗어나기 위해 최고인민회의를 대외관계 개선에 적극 활용하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이덕행 통일부 대변인도 “지금 시점에서 핵이 아닌 다른 목표에도 관심을 갖는 것이 아닌가 하는 점에서 주목되는 면도 있다”고 밝혔다.
최고인민회의가 신설한 외교위원회는 1992년 북한 헌법에 처음 명시된 후 김정일 체제가 본격화된 1998년 헌법 개정 시 관련 표현이 삭제돼 폐지된 것으로 추정돼 왔다.
19년 만에 외교위원회를 신설한 데다 이수용 노동당 중앙위원회 국제담당 부위원장, 이용남 내각 부총리,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 등 중량급 인물을 앉히면서 외교위원회의 역할이 커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은 “구성원 면면을 보면 외교, 경협, 대남 협상, 대미외교 핵심 관계자로 구성돼 있다”며 “대남 및 대서방 외교를 위한 주요 기구로 활용할 의도를 드러냈다”고 말했다.
특히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를 맡았던 김계관 부상이 위원으로 임용되면서 향후 북·미 양자 대화에 활용하기 위한 포석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5월 남측의 새 정부 출범을 기점으로 남북대화는 물론 북·미 간 관계 개선을 위한 대화 채널 회복 전단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외교위원회 신설만으로 북한의 태도 변화를 예상하는 것은 이르다. 북한은 전날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 제1비서 추대 5주년 중앙보고대회에서 “핵 강국, 군사 강국의 위력을 끊임없이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핵·미사일 능력을 고도화하면서 동시에 핵·미사일 관련 대외 협상을 전략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외교위원회를 부활시킨 것 아니냐는 시각도 제기된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北 19년 만에 외교위원회 신설, 대화 모드 전환? 다른 목적?
입력 2017-04-12 18:14 수정 2017-04-12 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