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의대 교수 채용계획 마련 전 안철수 부인, 지원서 미리 작성했다”

입력 2017-04-12 18:06 수정 2017-04-12 21:25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왼쪽)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12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 포럼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부인 김미경 교수가 서울대의 교수 채용계획이 마련되기 전 미리 지원서를 작성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김 교수가 서울대 지원을 위해 증명서 등을 발급받은 날짜도 안 후보와 같았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 위원들은 12일 국회 정론관에서 이런 내용의 기자회견을 갖고 “김 교수가 안 후보와 ‘1+1’으로 특혜 채용된 사실이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안 후보 채용이 결정될 당시 김 교수 채용도 결정됐다는 것이다.

실제 김 교수가 서울대에 제출한 채용지원서 작성일자는 2011년 3월 30일로 돼 있다. 그러나 서울대 의대가 특별채용계획을 학교 측에 제출한 날짜는 그해 4월 19일이었다. 서울대 총장은 이틀 뒤인 21일 이를 승인했다. 채용계획이 수립되기 최소 20일 전 관련 정보를 알았다는 정황이다.

김 교수와 안 후보는 카이스트 재직증명서(3월 23일), 서울대 박사학위 수여 증명서(3월 24일) 등 교수 채용을 위해 필요한 서류도 같은 날 발급받았다. 서울대가 안 후보 채용을 위해 ‘융합과학기술대학원 특별채용 계획’을 수립하고 총장에게 보고한 날(3월 18일) 직후다. 민주당은 “김 교수가 안 후보와 함께 ‘끼워팔기식’으로 채용이 결정됐다는 사실을 알고 미리 서류를 준비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대 의대가 김 교수 채용을 결정하는 과정에선 ‘자질’ 문제로 논란이 있었다. 서울대 정년보장교원임용심사위원회는 그해 6월 2일 김 교수 채용을 위한 첫 회의를 열었지만 위원들 사이에서 반대 의견이 많아 결정을 보류했다. 당시 회의에서는 “최근 3년간 생명공학정책 분야에 대한 연구실적 미흡” “(김 교수를 추천할 경우) 임용심사위 심사기준에 대한 내부비판과 대외적 논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신중한 검토가 필요” 등의 의견이 제시됐다. 특히 “학교의 정책적 고려에 의해 교수를 정년보장으로 신규 임용하는 경우 별도 심사절차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 교수 채용에 서울대 측의 ‘정책적 고려’가 작용했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김 교수는 6월 13일 열린 2차 회의에서 찬성 8표, 반대 6표로 가까스로 임용됐다. 이때 의대 출신의 한 심사위원은 반대표를 던진 후 위원직을 사퇴하기도 했다.

국민의당은 논평을 통해 “김 교수는 학력과 경력에서 견줄 사람을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뛰어난 학자”라며 “(민주당이) ‘멘털’까지 붕괴돼서야 되겠느냐. 안 후보가 어떤 비위를 저질렀다는 것인지 명확히 밝히라”고 반박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