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전략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미국 독일 등은 기업이 주도하고 정부가 제도적 뒷받침을 하는 형태다. 반면 후발 주자인 일본의 경우 국가 주도로 대응책을 마련해 추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1일 중장기전략위원회 보고서 등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대응 선도 국가인 미국은 구글, 페이스북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선점한 플랫폼이 4차 산업혁명 대응 전진 기지다. 이 강점을 제조업에 이식하는 작업이 민간 주도로 진행 중이다. 마이크로소프트, 퀄컴 등 159개사가 참여하는 사물인터넷(IoT) 컨소시엄 등이 대표적이다.
정부도 전방위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핵심 주제는 인공지능(AI)이다. 지난해 12월 백악관에서 발간한 ‘AI, 자동화 그리고 경제’ 보고서는 AI 투자와 개발 확대 정책과 교육 정책, 일자리 안전망 강화 방안을 담았다. 2015년 7월 미시간대 내 13만㎡ 규모의 자율주행 미니도시 설치를 지원한 게 주요 사례다.
독일에선 지멘스 등 대표 제조업체들이 혁신에 앞장서고 있다. 정부도 2013년 제조업 혁신을 위한 ‘인더스트리 4.0’ 발표와 함께 지원에 나섰다. 2015년에는 데이터를 활용해 생산·소비자 효용 극대화를 꾀하는 ‘스마트 서비스 월드 2025’ 정책도 발표했다. 대표적 결과물은 지난해 아디다스가 23년 만에 본토에 연 스마트 공장으로, 인건비 부담을 줄이고 경쟁력을 확보한 사례로 꼽힌다.
일본도 지난해 4월 ‘7대 추진 전략’을 발표하며 정부 주도 대응에 나섰다. 데이터 활용을 중심으로 산업·취업구조 전환과 인재 육성 등을 추진한다는 내용이다. 2020년까지 자율주행차가 고속도로를 달린다는 식의 구체적 목표도 제시했다.
중국은 IT 기업들의 자체적 혁신을 정부가 강력하게 지원하고 있다. 중장기 산업 육성을 위해 지난해 발표한 ‘인터넷 플러스’나 ‘중국 제조 2025 전략’이 중심이다. BYD, 알리바바 등 자국 기업의 스마트·서비스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목표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
해외 선진국 성장 전략은… 美·獨, 기업이 주도 정부는 전방위 지원
입력 2017-04-12 05:01